15일 미래부 관계자는 “1차 조직개편에서 신설하기로 한 창조경제기획관 산하 창조경제진흥팀이 범부처 창업지원 기획.조정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며 “기존에 부처내에서 흩어져 있던 창업 지원 기능 조정도 하게 된다”고 말했다.
현재 미래부의 창업 지원 기능은 분야별로 분산돼 있다.
과학기술분야에서도 과기벨트, 특구, 과기특성화대학, 정부출연연구소 기술사업화 등으로 흩어져 있는 상황이다.
정보통신기술(ICT) 분야에서도 방송통신기반과를 중심으로 방송, 인터넷, 사물인터넷, 보안 등 분야별로 산업 진흥 차원에서 창업 지원에 나서고 있고 소프트웨어(SW) 분야는 정보통신산업국에서 별도로 담당하고 있다.
분야별로 창업 지원 기능이 분산돼 있지만 방송통신기반과가 임시로 총괄 기능을 맡아오면서 문제가 있다는 지적도 있어왔다.
미래부가 출범 이후 범부처 창조경제 금융관련기관 정책간담회를 열고 금융위원회와 중소기업청, 한국정책금융공사, 기술신용보증기금 등과 창업 및 벤처 지원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과정에서도 방송통신기반과가 역할을 해왔지만 이 기능은 차츰 창조경제진흥팀으로 이관할 예정이다.
방송통신기반과는 범부처와 부처내 조정 역할을 넘겨주고 제 역할에 주력하게 돼 부담을 덜게 됐다.
창조경제진흥팀 신설은 미래부가 중시하고 있는 창조경제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창업 지원 정책을 부처가 출범하면서 급하게 임시방편으로 맡겼던 상황을 개선하고 역할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다.
신설 팀은 ICT 뿐 아니라 과학기술과 SW 등 전 분야를 아우르면서 보다 보폭을 확대할 것으로 예상된다.
미래부 내 과별로 흩어져 있는 창업 지원 정책의 총괄 기획조정 역할에도 탄력이 붙으면서 각 사안의 조율과 협업을 위한 기준도 제시할 것으로 예상된다.
팀이 창업 지원 정책 기획조정 역할을 전담하게 되면서 부처간 협업을 위한 대표성이 커지고 정책 추진 과정에서 협의가 활성화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미래부 관계자는 “창조경제진흥팀은 기술사업화 등 범부처 창업 지원 기능을 한데 묶어 큰 그림으로 정리해 문제점을 도출하고 향후 로드맵 등을 만들게 될 것”이라며 “그동안 기형적으로 이뤄지던 창업 지원 정책 담당 조직을 정비하고 역할을 강화하게 된 것”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