檢, 대통령 기록관 압수수색 지속

아주경제 이수경 기자= 2007년 남북정상회담 회의록 폐기 의혹 사건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공안2부는 17일 오전 11시 경기 성남의 국가기록원 대통령기록관을 재차 방문해 기록물 열람 및 이미징(복사) 작업을 이어갔다. 일요일인 18일에도 수색은 이어질 전망이다.

검찰은 회의록 폐기 논란이 벌어졌을 당시 참여정부 관계자들이 ‘회의록을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의 재가를 거쳐 지정기록물로 지정했다’고 주장한 만큼 회의록이 어딘가에는 존재한다는 전제하에 기록물들을 샅샅이 살피고 있다.

검찰 수사팀 내에서 비전자문서를 담당하는 ‘수색팀’은 전날 15시간가량 지속된 압수수색에서 대통령기록관 서고 중 지정서고에 보관된 15만여 건(2000여 박스)의 각종 비(非)전자 지정기록물에 대한 복사·열람 작업을 수행했다. 전자기록물을 분석하는 ‘포렌식팀’은 97개의 외장하드와 대통령기록물관리시스템(PAMS) 내 18만여 건의 전자 지정기록물에 대한 이미징 작업을 벌였다.

검찰은 우선 외장하드와 PAMS의 지정기록물 이미징 작업을 한 뒤 순차적으로 참여정부 청와대 문서관리시스템인 ‘이지원(e-知園)’의 백업용 사본(NAS)과 봉하마을에서 보관했다가 기록관에 제출한 이지원 봉하 사본의 이미징 작업에 들어간다는 계획이다.

검찰은 외장하드의 이미징 작업에만 2∼3일이 필요한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전체 작업이 마무리될 때까지는 한 달 이상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한편 검찰은 공정성 시비에 휘말리지 않도록 압수수색 과정을 캠코더 5대와 현장의 폐쇄회로(CC)TV로 모두 녹화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