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최근 5년 동안(2008~2012년) ‘수면장애’로 인한 진료환자의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진료인원은 2008년 22만8000명에서 2012년 35만7000명으로 최근 5년 동안 12만9000명(1.57배) 늘었고, 연평균 11.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은 2008년 473명에서 2012년 719명으로 246명(1.52배) 증가했다.
총진료비는 2008년 195억원에서 2012년 353억원으로 1.81배 증가했으며 공단에서 지급한 급여비는 2008년 137억원에서 2012년 250억원으로 1.83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2년 기준 수면장애로 인한 전체 진료환자 35만7000명 중 남성은 14만5000명, 여성은 21만2000명으로 여성이 남성에 비해 1.46배 많았다.
연령대별로 보면 50대가 7만5000명(21.0%)으로 가장 많았고, 60대 이상 진료환자는 전체 진료환자의 44.8%를 차지했다.
진료현황을 살펴보면 ‘불면증’이 23만7931명(66.7%)으로 가장 많았고 ‘상세불명 수면장애’ (8만4287명), ‘수면성 무호흡’(2만6168명) 순이었다.
신수정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신경과 교수는 "수면장애의 원인은 비만인구의 증가, 급격한 환경의 변화, 스트레스 증가, 현대인의 과도한 업무에 따른 수면습관의 변화, 나쁜 수면위생(숙면을 위해 가져야 할 습관) 등이 일차적인 원인이며, 정상적인 노화과정에 따른 수면구조의 변화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내과적·정신과적 질환이 동반되거나 신경퇴행성 또는 신경학적 질환과 동반되는 경우, 약물에 의한 경우, 알코올 섭취 혹은 수면제 남용 등에 의한 이차적인 원인도 있다.
특히 열대야가 지속되는 요즘 관절통증 환자들에게는 수면장애로 더욱 고통스러워 한다.
최근 힘찬병원이 내원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 의하면 관절 통증으로 인해 60%이상 수면장애를 겪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 중 약 62%는 여름 열대야에 통증이 더 심해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비해 관절통증으로 수면장애가 생겼을 때 초기대응을 어떻게 했는지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마사지’(112명, 12.5%)나 ‘찜질’(124명, 13.9%),‘진통제 복용’(126명, 14.1%), 등 올바른 방법을 사용한 경우는 2명중 1명에 불과했다.
보통은 ‘그냥 방치’(261명, 29.2%), ‘수면제 복용’(19명, 2.1%), 기타(253명, 28.3%) 등의 방법을 사용했다.
관절통증 밤에 더 심하고, 수면장애는 60대 이상 노년 무릎통증 환자가 가장 많이 겪는다.
관절통증 환자의 60%정도는 수면장애로 고통을 겪고 있다고 알려져 있을 만큼 많은 환자들이 수면장애를 호소한다.
그 중에서도 연령대별로 보면 노년층에 해당되는 60대 관절통증 환자 80%가 수면장애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증부위 중에서는 무릎통증환자 68%가 수면장애를 가장 많이 겪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수찬 힘찬병원 의학박사는 “습도·기압·기온·햇볕·바람 등의 날씨 변화가 관절통증의 증상, 즉 통증 또는 강직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는데 이중에서도 높은 습도가 가장 큰 영향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있다”며 “퇴행성관절통증 환자들은 통증으로 인해 평소에도 수면장애를 겪는 경우가 많은데, 여기에 열대야 수면장애까지 겹치면서 더 큰 불편함을 호소하게 된다”고 조언했다.
이 박사는 "가장 손쉬운 응급처치법은 찜질이나 덥다고 해서 무조건 얼음찜질 등의 냉찜질을 해서는 안 된다"며 "통증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서는 아무리 더워도 실내 온도는 25~28도 습도는 50% 이내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 "몸무게가 많이 나갈수록 관절에 하중을 많이 받기 때문에 평소 관절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체중을 조절하는 노력이 필요하며 안정과 휴식을 취하고 스트레칭 등 적당한 운동을 해주는 것이 큰 도움이 된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