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문을 여는 무한상상실은 23일 서울 한국발명진흥회, 28일 대전 국립중앙과학관, 31일 서울 광진도서관, 내달 12일 광주 신창동주민센터, 내달 13일 목포공공도서관이다.
한국발명진흥회 무한상상실은 아이디어를 특허나 디자인 출원을 목표로 하는 아이디어클럽형이고 국립중앙과학관 무한상상실은 현재 개발된 실험·공방형, 아이디어클럽형, 스토리텔링형, 연구개발(R&D) 연계형의 무한상상실 운영모델이 종합된 형태로 정부출연연구소가 밀집해 있는 지역적 특성을 감안해 R&D 과제와 연계한 프로그램을 운영할 예정이다.
서울광진도서관과 목포공공도서관 무한상상실은 전문 스토리텔러 양성을 위한 스토리텔러 아카데미(광진도서관)와 해양상상과학교실(목포공공도서관) 등 스토리텔링형으로, 광주신창동주민센터 무한상상실은 인근 호남대학과 연계한 실험·공방형으로 운영한다.
미래부는 올해 무한상상실 시범운영을 시작으로 교육부, 문체부, 산업부, 특허청 등 유관부처와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내년부터 2017년까지 전국 시·군·구까지 점진적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무한상상실이 지역의 상상.도전.창업 활동의 지역 거점이 될 수 있도록 지역 청소년 창업동아리 지원, 무한상상실과 과학문화확산사업을 연계한 프로그램 운영, 실험·공방시설이 없는 소규모 무한상상실의 경우 과학관 등 거점 무한상상실 또는 출연연과 제휴로 실험·제작기능을 보강할 계획이다.
무한상상실 운영모델도 추가로 개발해 내년부터 설치를 희망하는 기관에 제공할 예정이다.
내달부터는 유관부처와 가칭 무한상상실 추진협의회를 구성해 부처별로 추진하는 무한상상실의 명칭 통일, 공동 홍보, 우수 아이디어 연계지원 등 협업체계를 구축할 방침이다.
창조경제타운(www.creativekorea.or.kr, 창조경제포털)과 연계해 무한상상실에서 온·오프라인으로 수집된 아이디어는 창조경제타운의 창업지원 과정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