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의회는 문화재단 직원 채용과정에 대한 공정성을 제기하며 지난 3월 특별행정사무조사특별위원회를 꾸려 무려 75일간 조사를 벌였다.
특위는 지난 7월 신규채용된 직원 16명 가운데 11명의 경력·자격요건이 미비하거나 경력이 확인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이 중 9명에 대한 임용취소와 2명에 대한 확인조치를 요구하는 결과보고서를 냈다.
이와 관련해 재단은 적법한 채용과정에 따라 직원을 선발한 만큼 문제가 없다고 맞불을 놓았고, 급기야 시의회는 지난 16일 감사원에 감사를 청구했다.
이에 재단 본부장 등은 19일 오전 군포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조사특위과정에 심각한 문제가 있다며, 또박또박 반박했다.
이들은 조사특위가 어떠한 법적 근거없이, 채용자격 요건에 대해 자의적으로 해석해 채용결격여부를 판단했고, 조사과정에서 신규 임용자의 경력도 임의로 축소했다고 지적했다.
또 문화예술 분야에 대한 충분한 이해없이 건강보험득실증명과 소득증명이 있는 상근경력만을 인정한 것도 경력 판단상의 심각한 오류를 범한 것이라 주장했다.
그 밖에 개인의 연봉정산표와 다니던 임원 주민번호까지 들어간 등기부등본 사본 등이 실린 조사보고서가 각 동에 배포된 것은 명백한 개인의 사생활 침해와 개인정보 유출이라고 힘줘 말했다.
한편 이들은 감사원의 최종결과와 상관 없이 조사특위 결과의 허위사실과 개인정보유출에 따른 명예훼손, 정신적 피해에 대해선 반드시 법적 책임을 묻고, 감사결과 사실과 다를 경우 해당 시의원에 대한 공개사과와 의원직 자진사퇴도 요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