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은 19일 청와대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취임 6개월을 앞두고 국정과제 실천에 언급, “후반기에는 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 등 국민께서 체감할 수 있는 분야에 국정역량을 집중해야 한다”면서 “약속한 사항은 지켜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야 하지만 성과를 내려고 조급하게 서두르기보다는 꼼꼼하게 챙겨서 확실하게 진행해주기 바란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새정부가 출범한 지 6개월에 모든 것을 다 이룰 수는 없는 것”이라며 “앞으로 우선순위를 정해서 시급한 것부터 시행하고 연차적으로 해나갈 수 있도록 로드맵을 정해주기 바란다”고 주문했다.
박 대통령은 최근 경제활성화 및 일자리창출과 관련한 국정과제에 대해 이들 장관으로부터 개별 보고를 받거나 직접 전화를 걸어 진행상황을 묻고 좋은 결과물을 만들어낼 수 있도록 독려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박 대통령은 또 19일부터 22일까지 을지연습이 진행되는 가운데서도 경제활성화와 일자리 창출과 관련된 행사의 참석을 적극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취임 6개월을 맞는 오는 25일께 새정부의 국정과제의 구체적인 정책 성과들을 국민에게 보고하는 것도 적극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박 대통령은 집권 첫해의 상반기인 취임 6개월은 국민의 ‘삶의 변화’에 부응하는 리더십을 보여줘야 하는 때이자 정권 성공 여부의 바로미터라는 점에서 적지 않은 의미를 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박 대통령이 최근 청와대 참모진들이나 각 부처에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정책 성과들을 내놓으라고 거듭 주문하고 있는 것도 이같은 맥락에서다.
박 대통령은 새 정부의 핵심 국정과제 이행을 위해 필요한 입법들이 국회에 발이 묶여 있어 국정 운영에 속도를 제대로 내지 못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실제 140개 국정과제와 관련된 법안 378건 중 19일 현재 국회를 통과한 법안은 91건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박 대통령이 국무회의에서 지하경제양성화 관련 법 사장으로 세수 확보에 차질을 빚고 있다고 언급한 것이나 외국인투자촉진법 개정안이 6월 국회에서 통과되지 않아 2조 이상의 해외투자가 안되고 있다고 안타까움을 드러낸 것도 정치권을 향한 우회적인 비판으로 읽힌다.
박 대통령은 “정치가 국민의 입장에서 거듭나서 국민의 삶을 챙기는 상생의 정치를 해주기 바란다”고 촉구하면서 “부디 국민을 위하고 경제활성화를 위한 법안들이 충분히 공감대를 형성해 빨리 통과될 수 있도록 다같이 최선을 다해달라”고 당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