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심포지엄은 국내외 전문가들이 모여 녹조의 발생 원인 및 실태를 파악하고 관리 및 제어와 관련 대책을 마련하고 녹조 환경영향평가 및 녹조 발생의 원인인 영양염류의 효율적 처리 방안을 모색하는 등 다각적인 시각에서 녹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논의를 위해 열렸다.
심포지엄은 16개 외부기관들이 대거 참여하는 개방형 연구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되며, 이상협 KIST 박사와 베를린공대 스테판 플럼마커 리마 교수가 공동으로 녹조연구단장을 맡아 통합형 녹조 저감 기술과 녹조의 생체적 위해성과 해결방안에 대해 의견을 제시한다.
두 단장의 발표에 이어 녹조 발생 단계별 적정 대응 기술(김석구박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모니터링을 기반으로 한 효율적 녹조제어 전략(오희목 박사,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휴면포자 생물학을 기초로 한 녹조 발생원인 규명(한명수 교수, 한양대학교), 농업과 기상에 의한 녹조 예측(조경화 교수,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상수원 녹조제어를 위한 통합관리 방향(송미영 박사, 경기개발연구원) 등 11명의 국내외 전문가들의 녹조 관련 연구 내용을 소개한다.
심포지엄 후반에는 전문가들이 모여 최근 국가적 이슈로 떠오른 녹조 문제를 과학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의견을 나눌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