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금융권에 따르면 시중은행을 계열사로 둔 금융지주사들은 연내 금융감독원과 협의해 임원 보수체계 개편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기로 했다.
가이드라인은 임원 보수를 구성하는 고정급, 단기성과급, 장기성과급, 업무추진비(경영수당) 등을 조정하는 것이 핵심이다. 고정급을 높게 책정해 실적이 악화돼도 총 급여가 거의 줄지 않거나, 단기 성과급에 편중돼 임기 내 무리한 경영으로 고액 보수만 챙기는 등의 폐단을 막기 위한 것이다.
가이드라인에는 지주사 회장부터 부행장 등 임원들의 현재 급여 수준이나 업무 책임에 따른 삭감 비율을 차등화하는 방안이 담길 것으로 예상된다.
신한금융지주는 회장과 행장 30%, 계열사 사장 20%, 나머지 임원에 대해선 10% 수준의 급여 삭감 방안을 마련했다. 고정급을 낮추고, 기본급과 연동해 정해지는 장·단기성과급도 함께 줄어들도록 구조를 개편한 것으로 알려졌다.
KB금융지주는 회계법인의 컨설팅 결과와 해외 사례를 바탕으로 하반기 중 이사회 내 평가보상위원회에서 임원 급여체계를 개편한다.
하나금융지주의 경우 이미 이달부터 회장 30%, 행장 등 계열사 대표 20%, 임원 10%씩 급여를 삭감하기로 했지만 필요시 외부 컨설팅을 의뢰해 급여 체계를 점검할 계획이다.
하나금융 측도 금감원이 제시하는 지침에 맞추겠다는 방침이며, 고정급 뿐 아니라 성과급이 20%에서 많게는 절반까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금감원은 금융권의 합리적인 보상체계가 만들어지도록 전수조사를 실시하는 중이다. 고정급의 절대적인 금액과 성과급의 책정 시스템이 조사 대상이다.
금감원 측은 "단순히 급여를 일률적으로 깎도록 하거나 특정 회사를 지목해 줄이도록 하는 게 아니라, 실적이 급여에 제대로 반영되는지 살펴보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주요 금융지주사와 은행장의 연간 급여는 10억원에서 많게는 30억원을 넘기 때문에 '실적과 무관하게 한 몫 챙긴다'는 비판을 받곤 했었다.
이와 함께 금융회사 임원 보수체계 개편이 '고액 연봉'으로 논란이 되고 있는 은행원 등 금융회사 직원의 급여 책정에도 영향을 줄지 주목된다.
국민·우리·신한·하나·외환 등 5개 은행의 순이익을 임직원 수로 나눈 1인당 생산성은 올해 연간 기준으로 2011년 대비 69.0% 급감했다.
반면 지난해 국내 11개 은행의 정규직 직원 평균 연봉은 1억200만원으로 2010년의 8300만원보다 1900만원 늘었다. 연평균 11.5%씩 증가한 셈이다.
비정규직을 포함한 전체 은행 직원의 1인당 평균 연봉은 2010년 7100만원에서 지난해 8400만원으로 1300만원이 늘어 연평균 9% 증가세를 보였다.
현재 금융노조는 금융산업사용자협의회와 임금협상 교섭을 진행 중이다. 노조는 5.5~5.8%의 인상을 요구하고 있지만, 사측은 1.1% 인상안을 제시해 협상이 진전되지 않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