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총수들은 정부의 투자와 일자리 창출에 부응한 계획을 설명했으며, 창조경제 구현을 위한 신규산업 성장에 필요한 정부의 지원을 건의했다.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은 “지금 세계적으로 경제가 어렵다. 규제를 풀어준 것이 기업에 큰 힘이 된다. 투자·고용 계획을 차질없이 추진하도록 하겠다”고 박 대통령에게 고마움을 표했다.
이 회장은 “창조경제는 한국경제가 나아갈 올바른 방향이다. 기업들이 앞장서서 실행하고 이끌어 가야 한다”며 “소프트웨어 인재 육성에 노력하고 기초과학 육성과 융복합 기술 개발에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정 회장은 “자동차나 철강 등에서 투자를 차질없이 진행하겠다. 친환경·첨단소재 개발에도 노력 중이다. 해외 협력업체 동반 진출도 지원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자동차를 연 740만대 생산하고 있는데 해외생산이 늘고 있다. 국내 임금이나 물류비용이 높아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그러나 열심히 노력하면 연 1000만대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고 말해 생산설비 확대를 위한 투자를 시사했다.
구본무 LG그룹 회장은 “융복합 IT 기술, 에너지 저장장치, 전기자동차 등에서 글로벌 시장을 선도할 필요가 있다”며 “전기자동차 보조금에 대한 지원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LG그룹은 시각 장애인을 위한 책 읽어주는 휴대전화 사업, 저성장아동을 위한 성장호르몬 보급 등을 통해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이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신동빈 롯데 회장은 “여성이나 지방대 출신의 채용을 확대하겠다”며 “롯데는 비닐장바구니 5만개를 제작해 배포하는 등 지역전통시장, 중소상인과 상생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잠실 제2 롯데월드 등을 통해 관광산업을 활성화 하겠다”고 말했다.
김창근 SK 회장은 “중국의 석유국유기업인 시노펙과 합작투자를 통해 8월중 상업생산이 시작된다. 국가 지도자간 신뢰 필요성에 대한 긍정적인 사례다. 앞으로 세일즈 외교에 앞장서주시기를 부탁드린다”며 “합작투자를 위한 외국인투자촉진법이 조속히 처리될 필요가 있다. 울산에만 1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 회장은 “스마트그리드, 빌딩관리시스템, 에너지저장 장치 등 ICT 기반 에너지 신시장 창출을 추진하고 있다”며 “대·중소기업 동반성장지수 평가에 대해 ‘줄 세우기’ 평가보다는 기업별로 자발적으로 잘 할 수 있는 분야에 대한 배려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허창수 GS그룹 회장은 “ GS칼텍스도 외국인 합작투자를 위한 외국인투자촉진법 처리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신재생에너지 개발사업을 추진할 수 있다”고 전하고 “동반성장 사례로 GS홈쇼핑에서 중소기업 제품을 지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재성 현대중공업 대표이사는 “심해저 자원개발이나 해양플랜트에 대한 자원 외교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대통령께서 직접 나서서 물꼬를 터주기 바란다”고 밝혔다.
특히 이 사장은 “이제 ‘골드러시(Gold rush)’에서 ‘블루러시(Blue rush)’ 시대가 도래했다. 나이지리아 등 아프리카나 호주, 브라질 등 경쟁이 치열하므로 ‘세일즈 외교’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은 “신규 항공기를 60대 도입할 계획이다. 항공기 1대당 250명을 고용하는 효과가 있다”고 투자 계획을 전했다.
조 회장은 “사회적 보상시스템 부재 등으로 고용시장 수급에 불균형이 있다. 정부와 기업이 함께 논의할 필요가 있다”며 “무인항공기 등 방위산업의 경우 사업 연속성이 적어 어려움이 있다. 인천공항 허브화, 중국인 비자확대, 특급 관광호텔 건립 규제 완화 등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홍기준 한화 부회장은 “미화 80억달러 프로젝트인 이라크에 주택 10만호 건설을 하고 있다. 중소업체와 동반 진출을 통해 ‘제2의 중동 붐’을 기대하고 있다”며 “정부 차원의 보증이나 보험 지원이 필요하다. 또 태양광 산업에 대한 기회를 모색하고 있다”고 전했다.
박용만 두산그룹 회장은 “72개 지역 상의 회장을 모두 면담했는데 투자와 일자리 창출 의지는 있었다. 다만 투자처가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다”며 “통상임금은 공멸의 문제다. 입법이 개별 기업의 경우 어디에 해당되는지 모를만큼 쏟아져나오고 있다. 상공인의 사회적 지위를 높일 필요도 있다. 원전수출 등에 대한 국가적 지원, 정부의 금융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