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학사 ‘보수성향’ 역사교과서 검정심의 최종통과

아주경제 한병규 기자=보수 성향 학자들이 집필한 것으로 알려진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가 국사편찬위원회(이하 국편)의 검정심의를 최종 통과했다.

30일 국편에 따르면 고교 한국사 교과서에 대한 검정심의위원회의 최종 심사에서 8종 모두 합격 판정을 받았다. 최종 합격을 받은 이 교과서들은 다음 달 중 각 학교에 전시돼 학교별 채택과정을 거친 뒤 내년 3월부터 일선 고교에서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이 교과서들 중 출간 전부터 거센 논란에 휩싸였던 교학사 고교 한국사교과서도 포함돼 논란이 예상된다. 이 교과서의 필자들 중 권희영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와 이명희 공주대 교수는 진보진영이 뉴라이트 계열 단체로 꼽는 한국현대사학회에서 주요 보직을 맡은 인물이다.

실제로 한국현대사학회는 지나치게 한쪽으로 편향된 역사 연구를 지양하고 대한민국의 정통성을 인정하는 기반 위에서 한국 근현대사를 연구한다는 취지 아래 2011년 5월 설립된 학술모임이다. 설립 당시 역사 교과서의 ‘민주주의’ 표현을 ‘자유민주주의’로 바꿔야 한다고 주장해 논쟁을 일으킨 바 있다. 지난 5월 말에는 한 학술회의에서 현행 중·고교 역사 교과서의 좌편향 문제를 집중 조명했다.

진보진영에서는 이 교과서가 역사적 사실 관계를 왜곡했다고 보고 있어 내년 3월 일선 고교의 교과서 채택을 앞두고 한판 전쟁이 벌어질 전망이다.

하지만 일부 전문가들은 이 역사 교과서에 대해 크게 우려하지 않아도 될 것이란 전망을 내놨다.

김정인 춘천교대 교수는 “교학사 역사 교과서는 경제성장과 산업화에 큰 비중을 둬 서술했을 가능성이 크며 일반 정서와 다른 내용이라면 국편이 검정심의 과정에서 대부분 걸러냈을 것으로 본다”면서 “기존 교과서와 차이가 나는 내용은 북한 관련 부분일 것 같다. 기존 교과서들은 북한 부분을 최대한 객관적으로 보려고 하는 반면 교학사 교과서는 비판할 부분에서 물러서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교학사 역사 교과서 내용은 국편이 교과서 견본 열람을 허용하는 대로 확인할 수 있다. 국편 측은 견본 열람을 다음 달 2일 국편 국사관에서 진행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