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 2∼3%대의 고금리를 준다는 수시입출금식 통장이지만 실제 고객이 손에 쥐는 이자가 훨씬 적은 것으로 확인됐기 때문이다.
3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최고 금리만 강조한 고금리 수시입출식 통장 광고가 소비자의 오해 가능성이 크다며 시중은행에 상세한 상품 설명을 하라고 최근 지시했다.
수시입출식 상품 판매 시 설명 의무를 면제한 관련 규정을 수정하는 방안도 검토하기로 했다.
이에 한국씨티은행은 최근 인기 상품인 ‘쑥쑥 자라는 콩나물 통장’(콩나물 통장)의 홍보전단을 전량 회수해 새 전단으로 바꾸기로 했다.
기간 수익률이 최고 연 3.4%라는 점을 강조하다 보니 고객이 연 수익률을 3.4%로 오해할 수 있다는 금감원의 요구 때문이다.
콩나물 통장은 처음 돈을 넣으면 7일간 연 0.1%의 금리를 적용해주고 이후 1주일 단위로 금리를 올려 57일째부터 150일째까지 연 3.4% 금리를 적용한다.
금리가 계단식으로 올라가기 때문에 연 수익률을 환산하면 2.6%에 불과하다. 그나마 150일이 지나면 금리가 1.0%로 하락하기 때문에 연 수익률도 점차 떨어진다. 151일이 되면 돈을 빼는 게 유리한 셈이다.
한국스탠다드차타드(SC)은행의 ‘두드림 통장’과 ‘두드림 2U(투유) 통장’도 마찬가지다.
두드림 투유 통장은 돈을 넣고 1∼30일은 0.01%, 31∼180일은 연 3.0%를 적용받을 수 있지만 181일부터 금리가 2.3%로 떨어진다.
씨티은행은 수시입출식 상품임에도 이례적으로 예금거래신청서에 ‘상품설명서와 약관 수령 및 이해 여부 확인란’을 만들어 고객의 서명을 받고 있다.
그러나 상품구조를 오해한 고객의 민원이 생길 수 있다고 판단한 금감원은 씨티은행에 홍보물을 모두 새로 만들어 구간별 최고 약정이율(3.4%)과 최고 연수익률(2.6%)을 함께 써줄 것을 주문했다.
금감원은 수시입출식 예금의 경우 고객에 대한 상품 설명을 생략할 수 있도록 한 관련 규정을 손질하는 방안도 검토할 방침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