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5일 새누리당 여의도연구소에서 '포털 뉴스의 공정과 상생'을 위한 간담회가 열렸다. (사진=박현준 기자) |
아주경제 박현준 기자=네이버가 뉴스 유료화 방안으로 공동 결제 솔루션을 검토 중이라는 뜻을 밝혔다.
윤영찬 네이버 미디어센터장은 5일 새누리당 여의도연구소에서 열린 ‘포털 뉴스의 공정과 상생을 위한 간담회’에서 “어떤 유형의 유료화가 타당한지 고민했다”며 “광고 모델과 프리미엄 콘텐츠를 판매하는 모델 중 언론사가 선택하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윤 센터장은 그 중 공동 결제 솔루션에 주목했다고 밝혔다.
그는 해외의 공동 결제 솔루션을 예로 들며 “공동 결제로 어느 매체든 네이버나 다음 등에서 기사를 볼 수 있는 방식”이라고 설명했다.
윤 센터장은 언론사와 포털의 상생 문제를 언급하며 뉴스 유료화를 미룰 수 없는 시점에 왔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그는 “언론사의 신규 수익 창출 문제가 아닌 저널리즘의 가치 회복을 위해서라도 유료화가 필요하다”며 “좋은 콘텐츠를 만드는 매체가 수익을 내고 그 수익으로 더 좋은 콘텐츠를 만드는 선순환 구조가 만들어진다면 저널리즘까지 회복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그는 뉴스스탠드에 대해 조만간 이용자 편의성과 언론사들의 입장을 반영한 개편안을 내놓겠다고 밝혔다.
앞서 임철수 한국신문협회 전략기획부장은 포털은 더 이상 언론의 기능을 하지 말고 아웃링크 방식으로 전환해 인터넷 관문 역할에 충실하라고 요구했다.
이에 대해 윤 센터장은 “이제껏 신문협회와 한 번도 만나지 못했는데 이용자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 새로운 솔루션을 만들 수 있는 논의 구조가 빨리 만들어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