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현오석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8일 오후 인천 서구 소재 (주)연우를 방문, 생산현장을 돌며 설명을 듣고 있다. <사진=기획재정부> |
아주경제 김동욱 기자=현오석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8일 산업단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정보기술(IT)과 서비스업 기업의 입주가 늘어나도록 제도 개선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러시아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 참석한 박근혜 대통령을 동행한 현 부총리는 이날 귀국후 인천시 서구 가좌동의 기업현장을 방문해 중소·중견기업 대표들과 간담회를 열고 “산업단지 경쟁력 강화와 환경분야 기업규제 개선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3단계 투자활성화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말했다.
3단계 대책에는 산단에 IT·서비스 등 융복합 및 첨단산업 입주 확대를 위한 제도개선을 추진하고 노후 산단 리모델링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이 담길 것으로 보인다.
우리 경제에서 산업단지가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나 일부 노후 산단의 경우 활력이 감소되고 IT·서비스 등 융복합 수요에 대한 대응이 부족하다는 점이 한계로 지적돼왔다.
현 부총리는 “산업환경 변화를 감안해 서비스업과 융복합 산업, 첨단산업의 입주 확대를 위한 규제·제도 개선을 통해 투자를 촉진하겠다”며 “노후화된 산업단지의 리모델링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환경분야 규제개선과 관련해서는 “새로 도입하는 환경 규제가 기업 활동에 애로사항을 초래하지 않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기재부는 최근 기술발전 등을 고려해 입지→생산→폐기물처리 등 기업 활동 단계별로 제도를 개선하는 방안을 검토할 방침이다.
중소기업 성장정책에 대한 강조도 이어졌다. 현 부총리는 “중소기업이 중견기업으로 성장하는 사다리를 놓는 일은 박근혜 정부의 가장 중요한 정책목표 중에 하나”라며 “중소기업이 중견기업으로 성장했다고 해서 획일적으로 지원이 중단되고 세금과 규제가 늘어나지 않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