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미래부에 따르면 12일 조직개편과 함께 과학기술과 ICT간 교차 인사를 단행할 방침이다. 미래부는 이날 과장급 인사를 먼저 내고 차후 국장급 인사를 발표할 것으로 예상된다.
과장급 인사에 대한 안은 이미 마련돼 장관 결제만 남은 상태로 이를 앞서 발표하는 것은 박근혜 대통령의 베트남 순방 영향으로 국장급 인사에 대한 재가가 미뤄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미래부가 교차 인사를 확대하는 것은 부처내 칸막이를 없애고 조직 융합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추진 사업 가운데 다른 차관 산하의 결과물에 대해서는 데이터가 없고 파악이 되지 않는다는 이유로 배제한 가운데 후속 확산사업을 추진하는 등 부처내 칸막이가 여전히 심각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정부 조직개편으로 이전 교육과학기술부와 국가과학기술위원회가 1차관 소속으로, 구 방송통신위원회의 진흥조직이 2차관 소속으로 미래부로 합쳐지면서 일부 교차 인사가 이뤄졌었다.
부처 출범 후 이뤄진 인사가 조직 안정화 차원에서 우선 기존 업무를 그대로 가지고 오면서 빈자리 위주로 교체가 이뤄졌다면 이번 교차 인사 확대는 6개월이 지나면서 조직이 어느정도 안정을 찾은 가운데 분위기 쇄신 차원에서 추진하고 있다.
출범 직후 교차 인사의 교류 범위가 8~10%였던 데 비해 이번에는 누적 30%까지 폭을 확대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미래부 내에서는 이번에 양측에서 국장 2명씩과 과장 4~7명씩이 바뀔 것이라는 설이 나오고 있다. 이렇게 되면 국장급 17명 중 4명이 바뀌고 과장급은 65명 중 8~14명이 바뀌는 대대적인 인사가 이뤄지게 된다.
다만 실제 인사폭이 이렇게 클지는 불확실하다.
ICT 관련 조직에서는 적극적인 인사 교류의 필요성을 주장하고 있는 반면 과학기술 분야에서는 수세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ICT 조직 일부에서는 구 방통위에서 정통부 출신과 방송위 출신을 섞었던 것처럼 인사 교류를 통해 조직 융합을 도모할 필요성을 적극 제기하고 있다.
과학기술 담당 사이에서는 반대로 구 교과부에서 실행했던 인사교류 결과가 성공하지 못했다고 평가하면서 전문성과 연속성이 중요하다는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과연 교차 인사 대상으로 얼마나 우수한 인재가 선발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해서도 의문이 나온다.
조직 융합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지만 국정감사 등을 앞두고 현안에 대한 대응이 중요한 가운데 업무의 전문성과 연속성도 무시할 수는 없는 상황이다.
조직개편과 인사를 앞두고 부처 분위기가 술렁이고 있는 가운데 실제 인사 폭은 최문기 장관의 결정에 달려 있는 것으로 관측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