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노대래 공정거래위원장> |
노대래 공정거래위원장은 13일 정부 세종청사에서 민주당 을지로위원회(위원장 우원식) 소속 의원들과 만난 자리에서 이 같이 밝혔다.
공정위는 일감 몰아주기 규제 대상 기업 선정 시 규제 기준인 재벌 총수 일가의 계열사 지분율을 상장사는 30% 이상, 비상장사는 20% 이상으로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지난 12일 국회 당정협의에서 김용태 의원 등 정무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일부 의원들은 상장사 40%, 비상장사 30%의 규제 완화를 주장하고 나서면서 경제민주화 후퇴 분위기를 자처했다.
노 위원장은 이에 대해 일감몰아주기 규제 대상은 원안대로 유지하겠다는 입장이다. 일감몰아주기 제재 법을 어렵게 통과시켰는데 일각에서 제기되는 것처럼 총수관여 지분기준을 30~40%로 할 시 공정위가 기존에 제재했던 SK C&C 등이 빠지는 등 오히려 규제가 후퇴한다는 판단에서다.
특히 배상면주가에 대한 솜방망이 처벌 지적과 경제민주화 포기 등의 지적에 대해서는 공정거래법을 위반하는 사례에 대해 강한 법을 만들어 대응 하겠다 입장을 분명 시 했다.
노 위원장은 “솜방망이 처벌을 피하려고 기존 처벌보다 높게 처벌하며 법원에서 비례·형평에 어긋난다며 패소하는 사례가 있다”며 “장래 발생할 사건에 대해서는 강한 적용을 할 수 있게 제도개선을 할 것”이라고 답했다.
한편 을지로위원회 의원들은 공정위의 표준계약서의 문제점과 약관규제법 개정을 거론했으며 우정사업본부의 택배사업·백화점 매장의 음성적 일자리 문제에 대한 조사도 촉구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