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3/09/17/20130917000161_0.jpg)
17일 KB부동산에 따르면 8월말 기준 전국 아파트 전세가율은 평균 64.5%로 전월 대비 0.5%포인트 상승했다. 지난 2003년 4월 64.8% 이후 10여년 만에 최고치다.
지역별로는 광주(76.8%)·대구(74.2%)·울산(72.2%) 등 지역 아파트의 전세가율이 평균 70%를 넘어 꾸준히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광주에선 남구가 79.1%로 80%에 바짝 다가섰고 동구·서구·남구·북구·광산구등 지역 전세가율도 70%를 넘는다.
대전(69.3%) 서구와 유성구 아파트의 전세가율도 평균 70%를 넘는다. 부산(67.7%)의 경우 부산진구, 북구, 금정구, 사상구 등 지역만 전세가율이 70%를 웃돈다.
서울·수도권 지역에선 전세가율이 70%를 넘는 곳은 아직 없다. 서울 아파트의 전세가율은 58.1%로 전달보다 0.8%포인트 껑충 뛰었다. 이는 2002년 9월 58.7%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구별로 성북구가 65.8%로 가장 높고 도봉구, 광진구, 동대문구, 서대문구, 성동구, 중구, 강서구, 관악구, 구로구, 동작구 등도 전세가격이 매매가격의 60%를 넘어섰다.
경기도 아파트의 전세가율은 60.1%로 전달 59.3%에서 60%를 돌파했다. 지난 2011년 3월(50.6%) 50%를 넘은 이후 2년 반만에 10%포인트나 뛴 것이다.
경기도에서는 수원·안양·의정부·광명·평택·안산·용인 수지구·군포·의왕·하남·오산·이천·안성 등 지역의 전세가율이 60%를 훌쩍 넘었다.
인천의 경우 아파트 전세가율이 57.1%로 점차 증가하고 있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전문위원은 "추석 연휴 이후 수도권 전세 수요는 다소 줄어들 전망이지만 여전히 전세를 찾는 세입자가 많아 전셋값 강세는 지속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