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룹면접에서 살아남기 위한 전략은?

아주경제 김진오 기자=취업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면접’에서 좋은 평가를 받아야 한다. 특히, 여럿의 경쟁자가 함께 평가를 받는 그룹면접이라면, 답변 순서부터 시작해 다른 지원자보다 돋보이는 방법까지 고민이 필요하다. 그렇다면 실제로 인사담당자들이 더 좋은 평가를 내리는 지원자는 어떤 유형일까?

17일 취업포털 사람인이 기업 인사담당자 263명을 대상으로 ‘채용 시 지원자 그룹면접 실시 여부’를 조사한 결과 29.7%가 시행하고 있었으며, 가장 좋은 평가를 받는 지원자 유형으로는 ‘조리 있게 말을 잘 하는 지원자’(37.2%)가 1위를 차지했다.

뒤이어 ‘바른 자세 등 태도가 좋은 지원자’(33.3%), ‘창의적인 답변을 하는 지원자’(14.1%), ‘다른 사람 말을 잘 경청하는 지원자’(6.4%) 등이 있었다. 또 같은 질문 및 발표 주제 등이 주어졌을 때에는 64.1%가 먼저 답변이나 발표를 자처하는 지원자를 긍정적으로 평가한다고 밝혔다.

그 이유로는 ‘적극적인 태도가 좋아서’(62%), ‘자신감이 있어 보여서’(18%), ‘답변을 들을 기회가 많아 자연스럽게’(12%), ‘면접 준비를 열심히 한 것 같아서’(4%) 등을 들었다.

그룹면접은 ‘대기업’(83.3%)이 ‘중소기업’(19.5%)보다 더 많이 실시하고 있었다. 활용은 ‘경력채용’(47.4%, 복수응답)보다는 ‘신입채용’(94.9%) 때, ‘직무역량 면접’(80.8%, 복수응답)보다는 ‘인성면접’(92.3%)에서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회당 면접자는 평균 4명, 면접관은 3명이었으며, 면접 시간은 평균 33분으로 집계됐다. 면접 방식은 대부분인 92.3%(복수응답)가 ‘질의응답면접’이라고 답했고, 이어 ‘토론면접’(15.4%), ‘PT면접’(2.6%) 등의 순이었다.

그룹면접을 실시하는 이유로는 ‘경쟁자와 바로 비교할 수 있어서’(60.3%,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다. 다음으로 ‘경청 태도 등 여러 측면을 평가할 수 있어서’(48.7%), ‘면접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30.8%), ‘지원자 수가 많은 편이라서’(12.8%), ‘진행하기 편해서’(10.3%) 등의 답변이 이어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