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아파트값 상승률 최고 '대구·경북'…10위까지 싹쓸이

  • 전셋값 상승률은 용인수지·분당·과천 순

아주경제 권이상 기자=올해 전국에서 아파트값이 가장 많이 오른 곳은 대구와 경북 지역으로 조사됐다.

반면 전국에서 아파트 전셋값은 용인 수지구와 성남 분당구, 과천 등에서 큰 폭으로 올랐다.

19일 KB부동산 알리지(www.kbreasy.com)에 따르면 올해 전국의 아파트 매매가격을 조사한 결과 경북 구미가 8월 말 현재 10.08% 올라 상승률 1위를 차지했다.

대구 북구와 대구 달성군은 각각 8.35%, 8.19% 상승해 나란히 2, 3위에 올랐다.

이어 ▲ 경북 경산(7.14%) ▲ 대구 달서구(6.24%) ▲ 대구 동구(5.82%) ▲ 대구 남구(5.46%) ▲ 경북 포항 북구(5.45%) ▲ 대구 서구(5.39%) ▲ 대구 중구(4.68%) 순으로 상승률 상위 10위권을 형성했다.

박 대통령의 정치적 고향인 대구는 2007∼2010년까지 부동산 침체기를 보냈으나 2011년 이후 물량 부족으로 집값과 전셋값, 분양시장이 일제히 호조세를 보이고 있다.

박근혜 정부 출범에 대한 기대감과 동대구역세권 개발, 혁신도시·대구국가산업단지 조성 등 개발 호재도 풍부해 수도권 등에서 투자자들이 몰려들어 시장을 견인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박상언 유엔알컨설팅 대표는 "올해 전국에서 대구지역 부동산시장이 나홀로 초강세를 이어가고 있다"며 "전국의 부동산 투자자들이 대구로 몰려가고 있어 강세는 당분간 계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반면 올해 아파트값이 가장 많이 떨어진 지역은 ‘경기도 파주’로, 작년 말과 비교해 5.12% 내렸다.

경기도 양주와 일산 동구 아파트 매매가격도 올해 각각 3.63%, 3.57% 떨어졌으며 김포도 3.55% 하락했다.

이와 함께 ▲ 고양 덕양구(-3.48%) ▲ 동두천(-3.41%), ▲ 서울 금천구(-3.31%) ▲ 서울 용산구(-3.26%) ▲ 의정부(-3.23%) ▲ 용인 기흥구(-3.14%) 등도 아파트값 하락률 상위 10위 안에 들었다.

올해 전국에서 아파트 전세가격이 가장 많이 오른 곳은 ‘용인 수지구’로 11.67%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성남 분당구와 과천의 아파트 전세가격도 올해 들어 각각 8.53%, 8.49%나 뛰었으며 매매가격 상승률 1위인 구미는 전셋값도 8.43% 올랐다.

이밖에 ▲ 인천 연수구 8.39% ▲ 부천 원미구 8.20% ▲ 서울 강서구 8.17% ▲ 포항 북구 8.11% ▲ 안양 동안구 8.08% ▲ 대전 유성구 7.80% 등 순으로 전세금 상승률이 높았다.

전국에서 전북 익산의 아파트 전세금은 올해 2.24% 내렸고 부산 기장군, 마산 회원구, 전남 광양, 경남 양산 등 전셋값도 약보합권에 머물렀다.

올해 전국의 주택 매매가격은 0.25% 내렸다. 올해 집값은 서울과 수도권이 각각 1.32%, 1.44% 떨어졌으나 6대 광역시는 0.61% 올랐다. 같은 기간 전국 주택의 전셋값은 2.68% 상승했다. 서울과 수도권은 각각 3.10%, 2.92% 올랐고 6대 광역시는 2.40% 뛰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