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 부총리는 19일(현지시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재무장관회의 참석차 방문한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이번 양적완화 유지 결정을 세가지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우선 현 부총리는 "미국이 테이퍼링(자산매입축소)을 시작하지 않아 신흥국의 경제와 미국 주식 시장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기도 했지만, 한국은 이번 발표를 출구전략 실시가 임박했다는 뜻으로 받아들여 긴장감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는 금융시장 불안에 대비해 거시건전성 3종세트(선물환포지션 한도 규제, 외국인 채권투자 과세, 외환건전성 부담금 부과) 및 각종 시나리오에 따른 컨틴전시 플랜 등을 준비하며 시장 변동에 철저히 대비 중이지만, 대외 경제상황 등에 대한 면밀한 모니터링을 실시해 우리 경제에 미칠 수 있는 만약의 충격에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단기적으로는 시나리오별 분석과 모니터링 강화 등으로 대응하되 중장기적으로는 경상수지 흑자 유지, 외환·금융면에서 가계부채 등 취약 요소를 관리하겠다"며 "경제 체질을 강화하면서 단기적으로 그때그때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해 두 가지를 병행해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 부총리는 "미국 양적완화는 미국 경제 회복을 전제로 하고 있다"며 "이를 기회로 활용해 민간부문 투자 및 수출을 활성화함으로써 우리 경제가 정상화 흐름을 찾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현 부총리는 한국이 경상수지 흑자 기조나 안정적인 단기 외채 구조, 상대적으로 양호한 재정건전성, 외화보유액 등으로 여타 신흥국보다 시장변동의 충격을 덜 받았다는 점을 재차 강조했다.
또 이번 양적완화 유지 결정에는 한국이 경고해온 '역(逆) 스필오버(spillover)'에 대한 해석도 반영이 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간 우리 정부는 국제회의 등에서 미국 출구전략에 따른 신흥국 위기가 미국과 세계경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의견을 꾸준히 제시해왔다.
실제로 벤 버냉키 미 연준 의장은 이번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이후 기자회견에서 양적완화 정책 유지 결정에 대해 설명하면서 "양적완화 축소로 인한 신흥국의 문제는 미국 경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한 바 있다.
한편, 현 부총리는 이번 APEC 재무장관회의에서 미국 출구전략에 대비하기 위한 국제 공조 재확인 및 공고화, 재정의 건전성과 구조개혁 강화, 아시아 펀드 시장 활성화를 위한 펀드패스포트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