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포스코, 러시아 극동지역 인프라·자원개발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3-09-26 10:06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러 극동개발부와 국내기업 최초 MOU, 항만 건설·혁신기술 개발 등 협력

(오른쪽부터)알렉산드르 갈루쉬카 러시아 극동개발부 장관과 박기홍 포스코 사장이 지난 25일 극동지역 인프라 건설, 에너지·자원·혁신기술 개발 등에 관한 MOU에 서명하고 있다.

아주경제 채명석 기자= 포스코가 러시아 극동지역의 인프라와 에너지·자원 개발에 본격 나선다.

포스코는 지난 25일 러시아 하바롭스크시에서 극동개발부와 극동지역 개발 및 발전에 대한 상호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날 알렉산드르 갈루쉬카 러시아 극동개발부 장관과 박기홍 포스코 사장은 극동지역 인프라(주거·항만) 건설, 에너지·자원·혁신기술 개발 등에서 상호 협력하기로 했다.

러시아 정부가 외국기업과 협력 MOU를 체결한 것은 이례적인 일로, 이날 협약은 지난해 극동개발부를 신설한 후 국내 기업으로는 처음 맺은 것이다.

이는 포스코가 그동안 극동지역 개발을 위해 진지하게 노력한 결과이며, 러시아 정부로부터 인프라·자원·에너지 분야 최적의 파트너로 평가받은 것으로 풀이된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이로써 포스코는 현재 극동지역에서 추진하고 있는 사업에 한층 탄력받게 됐으며, 향후 국내 기업들의 극동지역 개발 참여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치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포스코가 극동지역에서 추진하고 있는 사업은 시베리아 및 극동지역 조립주택 건립, 아무르제철소 위탁운영, 항만 건설 등이다. 향후에는 물류거점을 확보한 후 극동지역의 풍부한 자원과 에너지 개발까지 연계한다는 북방전략을 세워놓고 있다.

러시아 정부는 아태지역 경제발전을 국가 최우선 과제로 선정하고 2012년 극동개발부를 신설했으며, 현재 1600억 달러에 달하는 92개의 국가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극동지역은 석탄 204억t, 철광석 45억t 등 자원이 풍부할 뿐 아니라, 동아시아와 유럽을 연결하는 물류허브로서의 가치가 점차 부각되고 있으며, 도로·항만·공항 등 각종 인프라 건설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이날 박 사장은 “포스코는 극동개발에 필요한 건설·에너지·철강사업군을 모두 보유한 전략적 적합성이 높은 기업”이라며, “포스코가 현재 극동에서 추진 중인 사업들에 대해 러시아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에 갈루쉬카 장관은 “극동지역과 인접한 한국은 극동개발부에 있어 매우 중요한 국가로, 한국의 대표기업인 포스코와 양해각서를 체결한 것에 대해 기쁘게 생각한다”고 밝히며 적극적인 지원을 약속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