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가계부채 증가율 감소…2분기 전년比 5.5%↑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3-10-02 14:26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가계부채 연착륙 대책 추진 평가…거시적·미시적 취약성 상존

 
아주경제 장기영 기자= 지난 2011년 정부가 가계부채 연착륙 대책을 발표한 이후 가계부채 증가 속도가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2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올 2분기(4~6월)의 전년 동기 대비 가계부채 증가율은 5.5%로 2011년 같은 시기 9.6%에 비해 4.1%포인트 줄었다.

앞선 2003년부터 2008년까지 연 평균 8.9%를 기록했던 가계부채 증가율은 2011년 4분기(10~12월) 8.7%, 지난해 2분기 5.9%로 점차 감소했다.

김용범 금융위 금융정책국장은 이날 정례 브리핑을 통해 “연착륙 대책을 시행한지 2년여가 경과한 현재, 가계부채 문제가 금융시스템 리스크로 전이될 가능성은 전이될 가능성은 현저히 감소했다는 것이 국내외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평가”라고 밝혔다.

또 “대책 추진 이후 증가 속도 둔화, 대출구조 개선 등이 가시화되면서 가계부채의 급격한 디레버리징 위험은 상당 부분 완화됐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지난 2011년 6월 가계부채 연착륙 대책을 통해 가계부채 총량 관리를 위한 기본적인 대응 방향 및 정책 수단을 마련했다.

이듬해 2월에는 제2금융권 가계대출 보완대책을 마련해 해당 금융권 가계대출의 증가 속도 관리 및 건전화 방안을 추진했다.

그러나 가계부채 규모가 크고, 대출구조도 아직 취약해 금리 급상승, 주택 가격 급락 등 거시경제적 충격 발생 시 가계부채 위험이 확대될 가능성은 여전히 존재하는 상황이다.

미시적 측면에서도 경기 및 가계소득 부진으로 취약계층의 상환능력 개선이 지연되는 등 부문별로 취약 요인이 남아 있다.

금융위는 거시적 측면의 시스템리스크를 줄이기 위한 정책기조를 유지하면서, 미시적 취약성을 해소하기 위한 맞춤형 대응을 강화할 방침이다.

김 국장은 “총략 측면에서는 증가 속도 관리, 만기구조 분산 등을 유도해 가계부채에 잠재된 리스크를 완화하고, 미시적 측면에서는 유동성 위험, 부채 과다, 채무상환 곤란 등의 상황에 직면해 있는 취약가구의 채무상환 여건을 개선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추가적인 상황 악화에 대비해 경기 민감 차주의 상환위험 완화, 베이비붐세대 은퇴 등 구조적 리스크 대응, 가계부채 문제의 재발 방지를 위한 제도적 장치 보완 방안을 강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