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스카이라이프는 CJ헬로비전, 태광 티브로드, 현대HCN 등 케이블 3사를‘공청선로의 배타적 사용을 통한 사업방해 행위 등’으로 공정위에 신고서를 제출했다고 3일 밝혔다.
스카이라이프는 국내 케이블TV시장은 재벌기업 계열인 CJ헬로비전과 태광 티브로드, 현대HCN 3사가 전국 92개 지역케이블사업자(SO) 중 절반이 넘는 51개를 소유, 이미 55%의 SO를 소유하고 있으면서 ‘유료방송 시장의 가입자 제한’을 외치는 케이블사업자들의 주장은 ‘결국 재벌들의 서비스 확장을 위해 KT를 규제하라’는 표적공세라고 지적했다.
이어 케이블TV협회가 가입자 3분의 1 제한규제를 주장한 것을 두고 “이미 케이블시장을 장악한 재벌들이 자신들의 지역독점은 유지하면서 전국사업자 KT의 발목을 묶어두려는 교묘한 꼼수이며 재벌에 대한 또 다른 특혜를 요구하는 것”이라고 강하게 비난했다.
또한“점유율 26%인 KT그룹의 플랫폼 과점이 우려된다고 주장하는 것은 적반하장”이라며 “CJ그룹의 경우 올 들어 수도권, 강원, 호남 등지의 4개 지역케이블을 사들이고 쓸어 담는데 2천억원 이상을 투입하여 사세를 확장하는 재벌들의 독과점이야 말로 국민의 매체 선택권과 방송의 다양성을 훼손하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아울러 스카이라이프는 “CJ그룹과 태광 티브로드는 전국 각지에서 보도 기능을가진 지역채널을 통해 여론독점이 가능하다”며 “CJ는 국내 17개 PP채널, 태광 티브로드 역시 10개의 PP채널을 보유하면서 상호 케이블망에 교차 편성해 중소 콘텐츠사업자의 시장 진입을 어렵게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특히 "방송시장을 독과점하고 있는 재벌기업들이 케이블TV협회를 앞장세워 KT그룹의 유료방송시장 가입자수를 제한하라고 주장해온 것은 디지털 소외 계층의 시청권 신장과 방통융합 등 미디어의 창조경제를 선도해 온 위성방송 및 올레 IPTV 융합서비스에 제동을 걸려는 것"이라며 "재벌들의 끝없는 탐욕의 행보"라고 각을 세웠다.
스카이라이프 관계자는 “케이블TV 사업자들이 애초 지역방송사업을 넘어 인터넷, 유선전화사업, 모바일 사업 등 끝없는 영역확장을 하면서 경쟁자에 대해서는 과거부터 지상파 재송신 반대, 공시청 규칙개정 반대, OTS DCS 융합 반대 등 반대 논리로 선의의 신기술과 서비스경쟁을 외면해왔다”면서 “위성방송의 가입자를 제한해 줄 것을 요구하는 시대 역행적 주장에 대해 모든 수단을 동원, 총력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