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과 은행 채권단은 금융권에서 50억~500억원을 빌린 중소기업 중 부실 가능성이 있는 1100여개 기업을 세부 평가 대상으로 선정, 신용위험 평가 작업을 실시하고 있다.
최근 3년간 영업현금 적자, 자산건전성 요주의 등급에 분류된 업체들로 해운·조선 등 제조업과 부동산, 건설업종에 집중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채권단은 97개 중소기업을 구조조정 대상으로 선정했으며 C등급 45개사, D등급은 52개사였다.
올해는 대기업 구조조정 대상이 40개사로 지난해 36개사보다 늘었으며 대기업마저 법정관리를 신청해 중소기업도 100여개사 이상이 C~D등급으로 분류될 전망이다.
감독 당국이 엄격하게 평가할 경우 중소기업 구조조정 대상은 2010년 수준을 넘을 수 있다. 구조조정 대상에 오른 중소기업은 2010년 121개, 2011년 77개, 2012년 97개였다.
하지만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꾸준히 구조조정을 실시해 올해 중소기업 중 법정관리를 의미하는 D등급으로 분류될 중소기업은 예년보다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금융당국은 조만간 중소기업 지원대책을 내놓을 계획이다. 금융당국은 중소기업 대출 관련 면책 제도를 확대하고 벤처·창업 기업 육성을 위해 신용평가 시 기술력, 성장 가능성을 반영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동산담보대출도 확대할 것으로 보인다. 중소기업에 대한 정부보조금 회계처리 관련 신용평가 개선, 영세 중소기업에 대한 금융컨설팅 서비스, 중소기업의 해외진출 시 금융지원 등에 대해서도 검토하고 있다.
또 시중은행의 중소기업에 대한 대출 현황을 수시로 점검하고 대출 확대 등도 지속적으로 요청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중소기업이 새로 대출하거나 기존 대출을 연장 할 경우 은행이 대기업과 차별하지 않는 수준의 금리를 적용하고 있는 지에 대해 점검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