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산업IT부 정치연 기자 |
아주경제 정치연 기자=최근 글로벌 자동차 업계의 최대 화두는 바로 전기자동차다. 차세대 친환경차로 주목받고 있는 전기차 기술력 확보와 보급은 향후 글로벌 자동차 시장에서 생존을 좌우한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현대·기아차와 한국지엠, 르노삼성차 등 국내 자동차 업계도 자사의 기술력을 집약한 전기차를 선보이며, 전기차에 대한 대중의 관심을 고조시키고 있다. 내년 상반기에는 기아차 쏘울 EV와 BMW i3 등 성능을 크게 향상한 양산형 전기차가 출시를 앞두고 있다.
기술력은 확보됐지만, 고가의 차량 가격과 급속충전소 부족과 같은 부실한 인프라는 전기차의 대중화를 가로막고 있다. 특히 전기차의 가격은 동급 내연기관 차량보다 2배 이상 비싸 정부의 정책적 지원 없이 일반 구매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국내에서 가장 먼저 전기차 민간 보급을 선언한 제주특별자치도의 경우 환경부 1500만원, 제주도 800만원을 합해 총 2300만원의 전기차 구매 보조금을 제공했다. 그러나 500명에 가까운 신청자 중 실제 혜택을 받은 도민은 160명에 불과했다. 부족한 예산 탓이다.
전기차 보급의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급속충전소의 미비도 앞으로 꼭 해결해야 할 과제다. 현재 환경부가 전국에 보급한 급속충전기는 117여개. 그나마 이 충전기는 기아차가 출시한 레이 EV만 사용할 수 있다. 업체별로 충전방식이 다르기 때문이다.
해외의 경우 정부가 직접 나서 전기차 보급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미국과 독일은 각각 2015년과 2020년까지 전기차 보급 100만대를 목표로 보조금 지급과 급속충전소 확대 등 인프라 구축에 정부가 적극적인 지원책을 펼치고 있다.
전기차는 이제 더 이상 선택의 문제가 아닌 시대의 흐름이다. 우리나라의 핵심 산업인 자동차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경쟁력 확보를 위해 더 나가아서는 이산화탄소 배출 감소를 통한 환경 보호를 위해 정부가 나서야 할 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