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13년 OECD 국제 성인역량 조사(PIAAC·Program for the International Assessment of Adult Competencies) 주요 결과’를 8일 발표했다. PIACC는 미국과 일본ㆍ독일 등 24개 참가국의 성인(16~65세) 15만7,000명을 대상으로 언어능력과 수리력, 컴퓨터 기반 환경에서의 문제해결력을 비교하는 조사다.
우리나라 성인의 언어능력은 500점 만점에 273점으로 OECD 평균과 같았다.
반면 수리력은 OECD 평균(269점)보다 낮은 263점에 머물렀다. 컴퓨터 기반 문제해결력 평가에서도 상위 수준에 속한 사람의 비율이 평균(34%)보다 낮은 30%에 그쳤다. 컴퓨터 기반 문제해결력은 컴퓨터를 사용한 경험이 없거나 컴퓨터 시험을 거부한 이들이 많아 평균 점수가 아니라 상위 수준에 속한 사람들의 비율로 비교한다. 다만 분석 대상을 우리나라 청년층(16~24세)으로 한정할 경우 3개 능력 모두 OECD 평균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층의 언어능력과 수리력은 각각 293점과 281점으로 평균보다 높았다. 청년층의 컴퓨터 기반 환경에서의 문제해결력 결과 상위 수준에 속한 비율도 OECD 청년층 평균(50.7%)보다 높은 63.5%를 보였다. 이는 참여국 가운데 가장 높은 수치다.
주어진 상황에서 개인이 어떤 일을 적절히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따지는 스킬부분에서 한국의 ‘스킬과잉’은 언어능력 10.7%, 수리력 13.1%로 OECD 평균(언어능력 10.3%, 수리력 10.0%)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다. ‘스킬부족’은 OECD 평균인 언어능력 3.6%, 수리력 3.6%보다 각각 1.8%, 2.6%로 낮았다.
고용부 관계자는 “이번 조사결과를 우리나라 성인의 평생학습 및 직업능력개발을 강화하는데 참고할 것”이라며 “중고령자, 여성, 저학력자 등 상대적으로 역량이 낮은 대상자에게 학습 기회가 확대될 수 있도록 정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