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네이버의 '웹툰' 검색 결과 화면. 네이버와 다음, 네이트 등의 웹툰 서비스가 함께 노출된다. |
아주경제 박현준 기자=네이버가 자사의 콘텐츠와 외부 중소·전문 콘텐츠 제공업체(CP)의 콘텐츠를 검색 결과에 동등하게 배치한다.
네이버는 미래창조과학부의 ‘인터넷 검색서비스 발전을 위한 권고안’을 수용해 플랫폼 사업자로서 검색 서비스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강화하기 위해 검색 서비스를 개선한다고 10일 밝혔다.
네이버는 웹소설·웹툰 등 자체 제공 서비스와 외부의 콘텐츠를 검색 결과에 동등하게 배치할 예정이며, 다양한 분야의 전문 콘텐츠 보유 기업들에 문호를 더욱 개방할 계획이다.
예를 들면 웹소설로 검색하면 ‘조아라’, ‘문피아’ 등 전문 기업의 콘텐츠가 동등하게 검색결과에 노출되는 방식이다.
네이버는 해당 기업들과 세부 페이지 구성 등에 대한 협의를 마치는 대로 실제 서비스에 적용할 계획이다.
웹툰은 이미 다음, 네이트 등 다른 경쟁 포털이 제공하는 웹툰 목록도 검색결과에서 함께 제공 중이다.
또 네이버는 모바일에서 ‘오늘의요리’, ‘간단요리’ 등 ‘레시피’ 관련 키워드로 검색하면 ‘이밥차’, ‘쿠켄’, ‘ESSEN’ 등 해당 분야의 전문 CP의 콘텐츠를 검색결과에서 제공하기 시작했다.
네이버는 순차적으로 맛집·여행·육아·인테리어·패션·뷰티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 CP의 콘텐츠에 대한 검색 노출을 확대할 예정이다.
아울러 네이버는 미래부 권고안에 따라 검색 서비스를 통해 유망 스타트업의 홍보와 마케팅 지원 등 다양한 상생협력 방안을 마련하고 이행할 방침이다.
네이버는 PC와 모바일 메인 화면에서 유망 스타트업의 브랜드 노출 공간을 별도로 마련하고 애플리케이션을 소개하는 ‘금주의 추천 앱’(가칭) 코너를 준비 중이다.
네이버는 유망 스타트업 및 앱 선정의 객관성을 더하기 위해 가능한 빠른 시일 내에 벤처기업상생협의체로부터 외부 전문가를 추천 받아 추천위원회의 심사위원으로 위촉할 계획이다.
회사 측은 “지난달 26일 열린 벤처기업상생협의체 4차 회의 직후 공표한 바와 같이 검색결과의 공정성을 강화하고 플랫폼 사업자로서 본연의 역할과 책임을 다하기 위한 실행방안을 모색했다”며 “미래부의 검색 서비스 개선 권고안에 따라 가능한 서둘러 검색 서비스의 개선방안을 마련하고 실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