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소속 민주당 박완주 의원이 전력거래소로부터 제출받은‘남부발전 부산복합 6호기 발전정지 상황보고’자료에 따르면 전력당국의 총체적 부실 대처가 공개됐다.
자료를 보면 지난 8월20일 부산복합 6호기가 멈춰서면서 전력당국의 안일한 대응에 대형사고로 확대된 것으로 드러났다. 당시 부산복합 6호기는 10분 만에 재고장과 재 기동을 반복하면서 3일 동안 무려 4번의 고장이 일어났고 결국 핵심부품인 터빈마저 고장 났다.
사고는 처음 러버(고무판)와 패킹 등 작은 고장에서 시작됐지만, 무리한 운전이 계속되면서 터빈의 날개가 부러지는 대형사고로 번졌다. 여기에 쓰인 수리비만 20억원을 넘은데다 무려 7일 동안이나 가동하지 못했다.
하지만 전력거래소는 복합6호기가 고장으로 출력이 떨어지자 3시간 동안 7번씩 전화를 걸어 “출력을 높일 것”을 요구했다. 발전기가 고장 나자 전력위기는 고사하고, 자신들의 안위부터 걱정한 처사라고 박 의원은 지적했다.
남부발전도 “본사에서 수급이 부족하니 무조건 돌려라 해서 지금 운전 중”이라고 무책임한 태도를 보였으며 정비가 끝나지도 않았는데 저출력 운전을 한 것으로 밝혀졌다.
여기에 고장난 발전기를 두고 입찰을 계속하거나 과다입찰을 하는 등 가짜 입찰을 계속해왔으며 고장정지로 인한 회사의 손해를 막기 위한 사실도 드러났다.
실제 22일 전력거래소와 남부발전간의 전화통화에서는“6호기가 고장상태 240이어야 하는데 330으로 입찰해 높다”는 질책이 이어진 뒤“서로 애매해 지니 사후변경하자”는 합의가 드러나는 등 입찰조작을 공모했다고 박 의원은 질타했다.
이처럼 4차례나 고장과 재기동이 반복되는 동안, 산업부에 보고한 자료는 20일 최초 고장발생 상황보고서 단 한 장뿐이어서 사고은폐에 급급했다는 지적이다.
박 의원은“고장발전기를 고치지 않고 무조건 돌리라는 전력거래소나 허위로 입찰을 계속한 남부발전이나 국민의 입자에선 기가 막힐 노릇”이라며“호미로 막을 일 가래로 막아, 수리비 20억원과 입찰가격까지 챙겨줘 국민 부담만 늘어났다”고 비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