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금융증권부 장기영 기자 |
축사를 맡은 조영제 금융감독원 부원장이 연단에 오르자 장내에는 만족스러움을 표시하는 박수 소리가 울려 퍼졌다.
사회자는 지난 5월 역대 금감원장 중 최초로 대부협회 주최 행사에 참석했던 최수현 원장이 약속대로 고위 임원을 파견했다고 소개했다.
양석승 대부금융협회장은 축사에 앞서 출신지와 이력 등이 포함된 조 부원장의 프로필을 직접 낭독하기도 했다.
그러나 금감원 임원진의 연이은 참석을 반기며 제도권 금융 진입을 자부하는 대부업계의 생각은 착각일까.
정작 금융감독당국은 여전히 부정적 이미지가 강한 대부업계가 미덥지 못한 표정을 짓고 있다.
대내외의 우려를 불식시킨다는 명목으로 지나치게 엄격한 조건과 심사 기준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대부업체의 저축은행 인수 허용 방안이 대표적인 예다.
대부업계 안팎에서는 금융지주사와 증권사 등 기존 금융사들의 저축은행 인수 여력이 소진되자 사실상 갈 곳 잃은 저축은행을 떠맡긴 금융당국의 태도치고는 깐깐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특히 저축은행을 인수한 대부업체는 신규 대부영업을 최소화하고, 대부잔액을 점진적으로 축소토록 해 뿌리인 대부업을 포기해야하는 상황이다.
저축은행을 인수할 수 있는 길은 열어줬지만, 각종 단서조항을 자물쇠 삼아 발을 들여놓지 못하게 한 셈이다.
저축은행 인수에 적극적이었던 일부 대형 대부업체들이 관련 작업 재검토에 들어간 것도 이 같은 이유 때문이다.
가계부채의 온상이라며 타박하던 대부업체에 포장도 뜯지 못할 선물을 안긴 금융당국과 적당히 금융당국의 비유를 맞춰가며 업권의 성장을 노리는 대부업계는 시각차라는 숙제부터 풀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