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는 삼성서울병원 아토피 환경보건센터·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과 공동 연구한 결과 아토피피부염 증상과 대기질 간 상관성이 있다고 24일 밝혔다.
환경부에 따르면 환경보건센터는 지난 2009년 7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22명의 내원 소아 환자를 대상으로 작성한 1880개의 증상일지와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에서 측정한 25개 구 대기측정소의 오염물질 농도를 비교·분석했다.
증상일지는 가려움·수면장애에 대한 정도를 0~10단계로, 피부의 붉어짐·진물·붓기 등을 0~3단계로 구분해 매일 기록했다.
연구 결과 보면 대기 중 미세먼지(PM10)·벤젠·톨루엔·총휘발성유기화합물의 농도가 짙을수록 아토피 피부염 증상은 악화됐다. 하루 전 환자의 아토피피부염 증상을 비교했을 때 미세먼지 ㎥당 1㎍ 증가하면 증상은 평균 0.4% 증가했다.
벤젠 0.1ppb 증가에는 증상이 평균 2.74% 심화됐다. 총휘발성유기화합물(TVOC)의 경우는 0.1ppb 증가 시 아토피피부염 증상이 평균 2.59% 증가됐다. 총휘발성유기화합물은 벤젠·톨루엔·자일렌 등이 포함된 300여종의 휘발성유기화합물이 대부분이다.
아울러 아토피피부염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 계절별로 달라진다는 결과도 눈에 띈다. 봄에는 온도가 낮고 스타이렌 농도가 높을수록, 여름에는 이산화질소와 톨루엔 농도가 높을수록 아토피피부염 증상이 악화됐다.
가을에는 온도가 높을수록, 겨울에는 미세먼지(PM2.5) 농도가 높을수록 아토피피부염 증상에 영향을 미쳤다.
이번 연구결과는 최근 해외 유명 학술지(JACI)에 게재됐으며 현재 알레르기 질환 분야에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는 게 환경부 측의 설명이다.
안강모 삼성서울병원 환경보건센터장은 “대기 환경인자와 아토피피부염과의 상관성이 높다는 것을 확인했다”며 “향후 조사대상을 확대해 재분석하여 계절, 오염물질 등 환경적 요인에 의한 아토피피부염의 예방 가이드라인을 내놓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환경부는 환경유해인자로 인한 건강피해의 규명·예방·관리를 위해 천식, 석면, 아토피 등 환경성질환 분야별로 전국 15개 환경보건센터를 지정해 운영 중이다.
![]() |
<대기오염물질 변화에 따른 증상 변화율> |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