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미 유권자 60%, 정치권 물갈이 희망”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3-10-23 16:4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이광효 기자=미국이 연방정부 부분적 업무정지(셧다운) 사태가 16일 동안이나 지속되고 국가 채무불이행(디폴트) 현실화 직전까지 간 것 등으로 정치권에 대한 유권자들의 불만이 극에 달하고 있다.

22일(현지시간) 미국 일간 워싱턴포스트(WP)와 ABC 방송이 최근 전국 유권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공동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들 중 66%가 “내년 11월 있을 중간선거에서 다른 후보를 찾아보겠다”고 답했다. “현직 의원의 재선을 지지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24%에 불과했다.

내년 중간선거에서는 100명의 상원의원들 중 35명을, 하원의원 435명 모두를 새로 선출한다.

셧다운 사태가 16일 동안 지속된 것에 대해서는 응답자들 중 81%가 ‘반대’ 입장을 나타낸 반면 ‘찬성’ 입장을 나타낸 응답자는 17%에 그쳤다.

응답자들 중 40%는 “본인은 지지 정당이 없는 무당파”라고 답했다. 본인을 민주당원이라고 여기는 유권자는 30%, 공화당원으로 여기는 유권자는 24%였다.

이에 대해 WP는 “정치 전반에 대한 혐오감으로 과거보다 부동층 비율이 훨씬 높아졌다”전했다.

이번 합의안에 따라 내년 초에 미국 정치권은 2014회계연도(2013년 10월 1일∼2014년 9월 30일) 예산안과 ‘국가부채 법정한도’(부채한도) 증액 협상을 다시 해야 한다.

하지만 미국 유권자들은 내년 초에도 정치권이 원만히 합의를 도출하기는 힘들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응답자들 중 72%는 “미국 정치권이 내년 초에는 다시 위기를 맞지 않을 것이라 확신하지 못한다”고 답했다. “다시 위기를 맞지 않을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27%에 불과했다.

더 큰 문제는 미국 국가부채 규모가 근본적인 해결책을 모색해야 할 정도로 급증한 상태라는 것. 최근 정치권 합의로 미국 부채한도는 내년 2월 7일까지는 적용이 안 된다.

미국 재무부에 따르면 21일 기준으로 미국 법정한도의 적용을 받는 국가부채는 17조272억2500만 달러다.

이에 따라 이제는 단순히 부채한도를 증액시키는 것이 아니라 근본적인 재정위기 해결책을 모색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지금도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건강보험 개혁안(오바마케어) 홈페이지 접속 장애를 계기로 공화당이 공세를 강화하는 등 오바마케어를 둘러싼 정치권 공방이 가열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는 정치권이 진지하게 미국 재정위기의 근본적 해결책을 모색하는 것은 고사하고 부채한도를 올리는 것도 힘들 것이라는 우려가 고조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