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서울대병원 노조 파업…정상화 골몰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3-10-23 19:01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권석림 기자= 서울대병원 노동조합이 23일 오전 5시부터 파업에 돌입한 가운데, 서울대병원이 대책 마련에 골몰하고 있다.

서울대병원은 응급실·중환자실 등 필수유지업무의 기능 정상화를 비롯해 환자들의 진료에 차질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모든 방안을 강구할 방침이다.

23일 병원과 노조에 따르면 올해 6월 27일 첫 교섭을 시작으로 병원과 노조가 40여회의 교섭을 해왔고, 두 차례에 걸친 서울지방노동위원회의 조정에도 불구하고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이번 파업에는 서울대병원 노조 조합원 1444명 중 교대근무자, 필수유지업무 대상자 등을 제외하고 350~400여명이 참여했다.

노조의 요구는 13.7%의 임금인상, 비정규직 정규직화를 포함한 다수의 인력충원, 선택진료비 폐지를 비롯한 의료공공성 강화, 소속 직원의 70% 요구 시 관리자 교체 등이다.

이에 대해 병원 측은 올해 680억원의 적자가 예상돼 비상경영체제에 돌입하는 등 경영 여건이 크게 악화되고 있어 노조의 요구를 수용하기 어려운 실정이라고 밝혔다.

경기침체로 인한 환자 증가추세의 정체 및 구조적인 저수가 문제와 더불어 정부의 보장성 강화 정책으로 인한 병원경영 여건의 지속적인 악화가 예측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관리자 교체는 병원의 인사경영 전속권한을 침해하는 것으로 무리한 요구라고 지적했다.

하지만 병원은 경영 여건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자체적인 예산절감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최근에는 교수의 선택진료수당을 30% 차감 지급하는 등 최선의 노력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일부에서 주장하는 검사실적 증가 및 진료재료를 싼 것으로 교체해 사용했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노조 측은 "병원 협상자들이 교섭에 일절 응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파업이 임박한 23일 새벽에도 교섭 요구에 무대응으로 일관했다"며 병원 측을 압박했다.

보건의료단체연합, 서울대병원 노동조합, 무상의료실현운동본부 등 40여개의 보건의료 및 시민단체는 "비상경영이라면서 저질 의료재료를 들여오고 무리하게 과잉의료를 통한 매출을 늘리고 있다"며 "서울대병원은 당장 비상경영체제 선언을 중단하고 환자들이 안심할 수 있고 병원노동자들이 정상적으로 진료에 임할 수 있는 정상경영체제로 복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