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현지시간) 미국 일간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이번 셧다운 기간 중 실업수당을 받은 연방정부 공무원들은 수천명에 이른다.
이들은 셧다운 사태가 해결된 후 다시 출근했는데 일터가 속한 주 정부로부터 셧다운 기간 중 지급이 안 된 체불임금도 받고 있다.
실업수당을 받은 연방정부 공무원들 중 대다수는 셧다운 사태 해결 후 소급해 받은 체불임금을 자발적으로 반납하고 있다. 하지만 반납하지 않고 있는 연방정부 공무원들도 적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일부 주 정부들은 실업수당과 체불임금을 모두 받은 연방정부 공무원들에게 실업수당은 반납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미국 아이다호ㆍ버지니아주 정부는 연방정부 공무원들에게 실업수당을 반납할 것을 요청하는 편지를 보내기로 결정했다.
버지니아주 정부는 이번 셧다운 기간 중 연방정부 공무원 191명에게 6만4836 달러의 실업수당을 지급했다. 아이다호주도 465명의 연방정부 공무원들이 실업수당 반납을 요청받을 전망이다.
일리노이주 정부는 3000명 정도의 연방정부 공무원들이 실업수당을 받았다. 이 중 577명 정도가 실업수당을 반환할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오리건주의 경우 주법(州法)에 의해 실업수당을 받은 연방정부 공무원들도 체불임금을 받을 수 있다.
주 정부들은 셧다운 기간은 모두 16일이었지만 일주일은 수당 지급 대기기간이었고, 셧다운 사태가 셋째 주 중에 해결돼 체불임금은 일주일치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