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지난 1988년 세종 기지 건설 이후 24년 만에 만들어지는 대한민국의 두 번째 남극 과학기지인 장보고 과학기지 2단계 공사를 담당할 150여 명 건설단 본진이 오는 11일 인천공항을 통해 현지로 떠난다.
이들은 12일 뉴질랜드 크라이스트처치로 이동한 뒤 15일 아라온호에 승선해 건설지인 남극 테라노바만으로 떠날 예정이다. 건설단은 계획보다 15여일 앞서 공사를 시작하는 것이다.
<내년 3월 완공 예정인 남극 장보고 과학기지 조감도.>
1단계 공사에서는 주요건물(본관동 발전동 정비동) 기초공사, 철골설치, 외장패널 설치 등 외부공사 위주로 진행됐다.
본진 출발에 앞서 2단계 건설공사에 필요한 건설자재 및 중장비를 실은 화물선 BBC다뉴브호는 지난달 27일 평택당진항을 출발했다.
안티구아바부다 선적 내빙선인 이 배는 건설자재 6958톤과 각종 생필품 등을 싣고 12일 호주 호바트항에 기항해 장보고기지에서 사용할 남극용 디젤유를 실은 뒤 16일 출항한다.
남극용 디젤유는 영하 38도까지 내려가는 남극 혹한기후에서도 얼지 않도록 특수 제작된 유류다. 화물선은 남극 도착 일주일 전 평균 두께 2m 가량 해빙대 지역에서 아라온호를 만나 에스코트를 받으면서 25일쯤 테라노바만에 도착할 예정이다.
당초 이달 25일 착수해 내년 3월 10일께 마치기로 했던 이번 2단계 건설은 예정보다 15일 정도 앞당겨 시작된다. 남극은 연중 실제 공사가능 기간이 평균 65일에 불과하고 현지에서 운송·하역작업이 중단되는 경우도 잦아 건설기간을 앞당겼기 때문이다.
남위 74도 이남에 위치한 장보고기지는 공사기간 중에는 완전한 백야여서 24시간 교대로 하역 작업이 이뤄진다.
장보고기지는 현대건설 컨소시엄이 설계와 시공을 동시에 하는 턴키방식으로 건설한다. 연면적 4458㎡에 연구 및 생활동 등 건물 16개동으로 구성되는 기지는 겨울철은 15명, 여름철에는 최대 60명까지 수용 할 수 있다.
건설단은 사전 제작된 자재를 현장에서 조립해 건설하는 모듈 방식으로 공사기간을 단축하고 친환경 건축자재를 사용한다.
또 준공 이후 태양열·풍력 등 신재생 에너지를 활용해 기지에서 사용될 전기를 생산·저장할 계획이다. 보급을 위한 접안시설은 남극의 해빙에도 견뎌야 하므로 일반 부두와는 달리 스테인레스로 보강한 블록으로 건설된다.
건설단은 남극의 겨울이 시작되는 내년 3월 10일 공사를 마치고 제1차 월동연구대에 기지를 인계한 이후 남극을 떠날 예정이다.
김양수 해양수산부 해양산업정책관은 “우리나라는 극지인프라 건설은 선진국에 비해 반세기 가량 늦었지만 장보고과학기지가 건설되면 세계에서 10번째로 남극에 2개 이상의 상주기지를 가진 국가가 된다”고 말했다.
이어 “세종기지는 남극 최북단 킹조지 섬에 위치해 고층대기과학, 대륙붕 지역 광물‧수산 등 해양자원조사 연구에 제약이 컸다”며 “반면 남극 본 대륙에 있는 장보고기지는 세종기지에서 수행하기 어려웠던 분야의 연구가 가능해져 우리나라 극지연구 수준을 한 단계 높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