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동기 교수팀, 액정 승화시 형성 3차원 나노구조 발견

아주경제 이한선 기자 = 

윤동기 교수

국내연구진이 액정물질 승화시 나타나는 3차원 나노구조를 발견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윤동기 KAIST 나노과학기술대학원 교수가 주도하고 정희태 KAIST 생명화학공학과 교수와 노엘 클락 콜로라도주립대학 교수가 참여한 연구진이 승화현상을 이용해 액정 내부 나노구조를 그려낼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이같은 승화현상을 이용하면 간단한 온도조절로 정교한 3차원 나노패터닝이 가능해 차세대 소자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연구는 미래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일반연구자지원사업 지원으로 수행돼 미국립과학원회보(PNAS) 11일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나노물질 내부를 보기 위해서는 물질을 얼려 깨뜨리는 방법이 많이 이용되는데 고분자나 액정, 바이오물질 같이 말랑한 연성물질은 이같은 과정이 쉽지 않았다.
 
연구팀은 액정이 고체 결정만큼은 아니어도 준결정 구조로 분자와 결합하는 성질이 강하다는 점에 착안했다.
 
기체로 승화해 날아가던 액정분자 일부가 되돌아와 원래 있던 준결정상태 액정분자들과 재결합하면서 만드는 돔 모양 3차원 나노구조체를 나노미터 수준에서 현미경을 통해 밝혀냈다.
 
이같은 방법은 향후 디스플레이, 광학스위치, 약물전달체 등에 널리 쓰이는 액정이나 바이오 물질과 같은 연성물질의 구조를 해석하고 응용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팀은 재결합을 이용해 3차원 나노패터닝도 가능할 것으로 주목하고 온도 등을 조절해 액정의 판상구조를 정교하게 한 겹씩 벗겨내는 데 성공했다.

차세대 트랜지스터로 꼽히는 수직 트랜지스터 제작 등을 위해 기존 2차원 식각공정 대신 3차원 나노패터닝 이용할 경우 공정 단계와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윤 교수는 “전자기장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액정의 고유성질과 이번 재결합 현상을 잘 융합하면 고효율의 광전자 소자 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