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검 대상은 재질의 취약성이나 노후도, 훼손 위험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건조물 문화재(주로 건축물)가 중심이다. 국가 지정 문화재 3천500건 중 중요 건조물 문화재 1447건과 시·도 지정 문화재 7793건 중 5305건을 합친 총 6752건이다.
문화체육관광부는 "문화재 보존관리 부실 논란 등에 따른 종합 대응체계를 마련했다"며 “사안의 시급성과 중요성을 감안해 모든 행정 역량을 결집해 (이번 점검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4일 밝혔다.
석굴암이나 해인사 대장경판을 비롯해 국민적 관심이 큰 핵심 문화재는 별도 중점 관리하며, 동산문화재 중에서도 안전시설이 열악한 사찰, 문중, 서원 등지의 유물 다량 보관처 47개소도 이번 특별 점검대상에 포함됐다. 국가지정문화재에 대한 점검은 내년 2월, 시도지정문화재는 내년 4월까지 각각 마무리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