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한전에 따르면 학계 전문가와 공동으로 용어를 검토하고 국어정책기관인 국립국어원의 감수를 거쳐 '알기 쉬운 전력용어'를 정립했다.
우선 ‘일본식 한자’, ‘어려운 축약어’ 등을 이해하기 쉬운 우리말로 고친다는 원칙에 따라 ‘경간(徑間)’, ‘회선긍장(回線亘長)’ 등은 ‘지지물간 거리’, ‘회선길이’ 등으로 고쳤다. 또 ‘가공지선(架空地線)’, ‘인입선(引入線)’, ‘이도(弛度)’ 등은 ‘공중 낙뢰유도선’, ‘고객공급선’, ‘늘어짐(정도)’ 등으로 쉽게 바꿔 부르기로 했다.
아울러 ‘PLC', 'ESS', 'CPP', ‘타이(Tie)', '뇌써지’, ‘랙크(Rack)’와 같이 영어로 된 용어들은 각각 ‘전력선 통신’, ‘에너지 저장장치‘, ’피크요금제‘, ‘연계’, ‘낙뢰충격전압’, ‘랙’으로 한글화하거나 외래어 표기법에 맞게 변경했다.
이 밖에 ‘리클로저(Recloser)’, ‘자동재폐로차단기’와 같이 여러 개의 용어를 혼용 중인 경우에는 ‘자동재투입차단기’ 등으로 용어를 통일했다.
한전 관계자는 "이번 용어정립 결과가 직원과 고객과의 의사소통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관련 사내 기준서 및 절차서 등의 개정작업을 거쳐 반영하겠다"며 "핸드북으로도 제작해 관계기관에 배부, 한전 홈페이지에도 게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