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최경환·민주당 전병헌 원내대표는 10일 국회 정상화에 최종 합의했다. 여야는 또 임시국회 일정을 내년 1월 3일까지로 연장하는 방안에도 의견을 같이했다.
당초 청와대와 새누리당이 두 의원의 ‘막말 파문’에 강경한 어조로 대응하면서 민주당이 국회 일정 전면 보이콧을 시사하는 등 일촉즉발의 상황까지 치달았지만 결국 해프닝으로 끝난 셈이다.
국회 국가정보원 개혁특위도 이날 오전 전체회의를 열어 국정원으로부터 업무 보고를 받을 예정이었으나 새누리당이 의사일정을 거부했고, 국회 예산결산특위 심사소위는 반대로 민주당이 이에 상응하는 조치로 예산심사를 거부하면서 파행을 빚었었다
한때 민주당 안팎에서는 이날 오후 본회의에 전원 불참하는 방안까지 검토됐으나 본회의 시작 30분 전에 열린 의원총회에서 본회의 참석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김한길 대표는 의총 모두발언에서 “의원들 각자 발언이 당론이나 국민의 정서 충분 고려안했을 때 우리 목표를 이루는 데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다는 점 미리 헤아려 달라”고 말했다.
논란이 중심에 선 양 의원도 의총이 비공개로 전환된 이후 “누를 끼쳐 죄송하다”고 발언 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김 대표는 “저는 부여 받은 권한으로 추후 당의 단결을 해치거나 당의 이해와 배치되는 언행에 대해선 대표로서 단호하게 임할 것”이라고 말해 새누리당의 향후 재발 방지 요구를 우회적으로 약속했다.
민주당은 또다시 국회 일정 중단을 선언할 경우, ‘민생을 볼모로 삼는다’는 여론의 역풍을 우려한 것으로 분석된다.
새누리당도 두 사람에 대한 제명안을 징계안으로 수위를 낮춰 국회 윤리특별위원회에 제출하기로 했다.
하지만 민주당은 징계안 조차 철회를 주장하고 있어 논란의 불씨는 여전히 살아 있다.
최경환 원내대표는 원내대책회의에서 “정권의 정통성을 부정하고 유린하고 대선 때 박근혜 후보를 지지한 수많은 국민을 모욕하는 중대 문제를 그냥 넘어갈 수 없다”면서 “두 의원에 대한 제명결의안을 오늘 제출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두 의원의 발언은 정치적 금도를 넘어 인간에 대한 최소한의 배려와 예의를 저버린 비수이고 화살이었다”고 비판했다.
최 원내대표가 언급한 ‘제명결의안’은 국회 차원의 결의안보다는 윤리특위에 제소될 징계안을 지칭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징계안은 검사 출신의 김도읍 의원이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양 의원은 박정희 전 대통령 암살을 거론하며 “박근혜 대통령도 ‘선친의 전철’을 밟을 수 있다”고 언급했으며 장 의원은 지난 대선 결과에 불복선언을 하고 박 대통령 사퇴를 요구해 논란이 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