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교과서 수정? 위안부 관련 왜곡 그대로"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3-12-12 08:56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민주당 의원들 "교학사 한국사 교과서 문제 서술 변경없다" 주장

아주경제 한병규 기자 = 수정명령이 완료됐음에도 교학사 한국사 교과서에 대한 표기 오류와 친일적 서술도 그대로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민주당 도종환 의원은 11일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교학사 역사교과서 최종본 분석 토론회'에서 분석 결과를 발표하며 "검정 당시 고친 479건을 포함하면 교학사 교과서가 그동안 수정한 사항은 모두 1500여곳에 달한다"고 밝혔다.

이어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조 말년'을 '영조 만년'으로, '모양과 질이 조잡하여'를 '모양과 질이 조합하여'로 쓰는 등 오탈자 사례 64곳 중 16곳이 수정되지 않았고, 비문사례 36곳 중 16곳, 띄어쓰기 오류 42곳 중 19곳 등이 고쳐지지 않아 여전히 부실 덩어리 교과서"라고 비판했다.

또 친일 시각 서술이 여전하다고 꼬집었다.

예컨대 일제의 쌀 수탈을 '쌀 수출로 지주의 경제력은 더욱 커졌으나…'(244쪽)로 표현한 것이 지적되자 교학사 측은 그 부분만 고치고 279쪽에는 여전히 '쌀 수출'로 표현했다.

또 의병을 '토벌'했다는 표현은 일본 입장의 서술이라는 지적에 해당 부분만 바꾸고 다른 페이지인 240쪽에서는 여전히 '토벌'이란 용어를 사용했다.

같은 당 김태년 의원은 위안부 사진설명이 고쳐지지 않고 마치 '위안부가 일본군을 따라다닌 것처럼' 예전 그대로 실려 있다고 밝혔다.

수정 전에 '현지 위안부와 달리 조선인 위안부는 전선의 변경으로 일본군 부대가 이동할 때마다 따라다니는 경우가 많았다'고 기술한 부분이 최종본에서는 '현지 위안부와 달리 한국인 위안부는 전선의 변경으로 일본군 부대가 이동할 때마다 따라다니는 경우가 많았다'로 '조선인'이 '한국인'으로만 바뀌었다.

김 의원은 "위안부가 강제로 끌려 다녔다는 점을 국회에서도 지적했는데 황당한 수정안이 나왔다"며 "엉뚱한 곳을 고친 교학사도 문제지만 이런 기망행위를 용인해준 교육부도 문제"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