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몽골, T-DMB 본방송 서비스 시작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3-12-12 12:01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이한선 기자 = 미래창조과학부는 12일부터 몽골 수도 울란바토르에서 우리나라가 개발해 2007년 국제 표준으로 선정된 T-DMB(지상파 DMB) 본방송 서비스를 개시한다고 밝혔다.

이번 T-DMB 서비스는 우선 4개 무료 채널로 개시한 뒤에 내년 상반기부터 5개 채널을 추가한 유료 서비스로 전환하고 규모를 확대할 예정으로 향후 국내 T-DMB 관련 장비 업체들의 몽골 현지 진출에도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미래부는 2011년부터 몽골 T-DMB 상용화 서비스 실시를 위해 국산 방송장비 지원 및 기술 자문을 통해 시범서비스 실시를 지원하는 등 몽골 T-DMB 본방송 실시를 위해 노력해왔다.

서비스 실시에는 T-DMB 시범사업을 실시했던 몽골 현지 T-DMB 사업자인 UBDMB와 현지 2위의 이동통신사인 유니텔이 참여한다.

유료 서비스를 위한 가입자 관리 장비 등 방송장비 제공에는 국내 방송장비 업체가 참여를 검토 중이다.

이날 울란바토르 현지에서 열린 T-DMB 본방송 개국식에는 몽골 정보통신우정청(ICTPA) 청장, 몽골 방송통신규제위원회(CRC) 위원장, 이동통신사 유니텔 대표, UBDMB 대표, 정창림 미래부 전파방송관리과장, 차양신 한국전파진흥협회 부회장 등 양국 방송통신 관련 주요 인사 150명이 참석했다.

발간슈렌 바슈크 몽골 방송통신규제위원회 위원장은 “몽골의 모바일방송 서비스가 한국의 T-DMB 기술로 이뤄지게 된 것을 매우 뜻 깊게 생각하고 앞으로도 양국 간 기술교류와 방송통신 분야의 지속적인 협력을 희망한다”고 밝혔다.

정창림 과장은 “이번 본방송 개시를 계기로 국내 T-DMB 장비 업체의 몽골 시장 동반 진출이 이뤄질 전망으로 국내 중소기업들의 해외진출이 용이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 방안을 강구하겠다”고 강조했다.

현재까지 자국의 모바일방송 표준으로 T-DMB 서비스를 채택한 국가는 우리나라를 포함해 노르웨이(2008), 캄보디아(2009), 몽골 등 4개국으로 베트남, 라오스 등도 T-DMB 상용화를 검토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