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무역적자 추세는 향후에도 더욱 확돼될 것이라는 부정적 전망이 대세라는 점에서 일본 경제의 커다란 한 축이 빠르게 붕괴되고 있다.
니혼게이자이는 12일 일본 전자정보기술산업협회(JEITA)와 전기공업협회(JEMA) 자료를 분석한 결과, 완제품과 부품을 더한 전자산업의 올 3분기까지 누적 무역적자가 8000억원(8조2200억원)에 달했으며, 연간 기준으로도 최초의 적자가 확실하다고 보도했다.
신문은 적자 전환의 가장 큰 원인을 생산 해외 이전으로 꼽았다. 2008년 리먼 사태 이후 일본 전자 업계는 공장을 개발도상국으로 대폭 옮겼다.
TV의 경우 1991년에는 국산 비중이 80%에 달했지만 2012년 기준 자국에서 팔린 TV 640만대 중 수입품이 620만대다. 소니와 파나소닉, 샤프 등 일본업체 브랜드를 달고 있지만 생산은 말레이시아나 인도네시아에서 이뤄진 것들이다. 신문은 TV 한 품목의 무역 적자가 1100억엔(1조1300억원)에 달했다고 설명했다.
엔화약세에도 불구하고 수출은 줄고,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수입은 급증해 적자 규모를 키웠다.
2008년 2000억엔(2조500억원) 수준이던 스마트폰 무역적자 규모는 2012년에 1조1000억엔(11조3000억원)으로 급증했으며, 올 3분기까지 이미 1조엔(10조2700억원)을 넘어섰다. 소니가 3월 자국내에서 스마트폰 생산을 중단한데다가 자국 1위 이동통신업체인 NTT도코모가 애플 아이폰 판매에 나서면서 외산 스마프폰 판매가 늘었다.
부품은 3분기까지 2조2100억엔(22조6900억원)의 흑자를 기록하며 선방했지만 지난해 같은기간에 비해 5%가량 감소했다. 일본내 완제품 생산이 줄면서 벌어진 결과다. 갈등을 겪고 있는 중국에서 일본 부품 수입이 늘고 있는 점은 다행스러운 점이다.
니혼게이자이는 무역 적자는 고용 시장에도 악영향을 끼쳤다고 전했다. 일본 경제산업성 통계에 따르면 2010년 일본 전자산업 종사자는 30만명 안팎으로, 1995년과 비교해 30% 넘게 줄었다.
신문은 엔저 호재를 살리지 못한채 전자 제품 수출이 줄어듦으로써 지금보다 앞으로의 전망도 어둡다고 전했다. 전자업체들이 일본내 대형투자를 단행하려는 움직임이 없는데다가 해외로 간 생산거점은 한국기업에 밀려 이익을 내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