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조는 12일 강남구 도곡동 군인공제회관 앞에서 성명서를 내고 쌍용건설 정상화를 위한 군인공제회의 동참을 요구했다.
노조는 “군인공제회 역시 문제가 된 프로젝트파이낸싱(PF)사업의 사업 실패에 일정 부분 책임이 있다”며 “그럼에도 자신들의 이익만을 주장하며 채권단, 쌍용건설, 쌍용건설 임직원, 협력업체, 국민경제를 공멸의 길로 몰아넣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군인공제회는 국민경제를 도외시하고 존립할 수 없는 ‘공적 금융기관’이라며 쌍용건설 정상화에 전향적 자세를 보일 것을 호소했다.
군인공제회는 쌍용건설이 보증을 선 경기도 남양주 사업장에 대한 1000여억원의 채권을 회수하기 위해 지난 5일 공사현장 대금 계좌를 가압류한 바 있다.
가압류 직후 전면 중단됐던 쌍용건설의 국내 150개 사업장의 공사는 일부 재개됐으나 협력 업체들이 현금 결제를 요구해 곳곳에서 차질이 빚어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쌍용건설은 협상을 위해 여러 차례 군인공제회측에 대화를 요청했으나 군인공제회측은 자금 지급 능력이 없는 쌍용건설을 아예 만나주지조차 않는 것으로 전해졌다.
쌍용건설은 시행사 보증을 서는 과정에서 떠안은 PF 사업 부실을 연말 대손으로 재무재표에 반영하면 완전자본잠식 상태에 놓여 채권단 출자전환 없이는 법정관리로 들어서게 된다. 채권단이 자기자본의 50% 가량을 출자전환을 해주면 상장이 유지되지만, 자본잠식분에 대해서만 출자전환을 결정할 경우 상장이 폐지돼 영업 활동만 이어가는 수준에 빠지게 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