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지역 정치권에서는 잇따라 강력한 경고를 날리며 '지역 환원'을 주장하고 있다. 홍준표 경남도지사가 경남은행을 BS금융에서 가져갈 경우 3조원이 넘는 도·시군 금고를 빼버리겠다고 압박한 것이 대표적이다.
어느 곳이 가져가든 정치적 역풍은 피할 수 없을 전망이다. 이미 오래전부터 예견된 상황이다. 하지만 뒷맛이 씁쓸하다. 취재 중 만난 한 금융권 관계자는 "매각 자체에만 몰두하느라 어떤 것이 어디에 팔려야 금융 경쟁력이 높아지는지를 외면하고 있다"고 말했다.
우리금융 민영화의 3대 원칙은 △조기 민영화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 △금융산업 발전이다. 민영화가 13년을 표류해 온 것은 이 3대 원칙을 모두 충족하기가 그만큼 어려웠기 때문이다.
네 번째로 우리금융 민영화를 시도하는 올해에는 결국 '조기 매각'에 무게가 실렸다. 그렇게 나온 게 분리매각 방안이다.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를 위해 최고가 낙찰 입장도 고수하고 있다. 그러나 금융산업 발전은 과연 신경을 쓰고 있는지 의문이다.
'매각을 해야만 한다'는 명제에 매몰되다보니 매각 과정은 이미 순탄치 않다. 우리투자증권을 비롯한 우리금융 일부 계열사를 묶어 파는 패키지 매각 건도 매물 조합이나 가격 문제로 우선협상대상자 선정이 연기됐다.
민주당 이학영 의원과 정의당 박원석 의원도 현행 매각방식을 두고 민영화 원칙과 공정성 훼손이 우려된다고 문제점을 지적했다.
내년에는 덩치가 커 매각 가능성이 불투명하다는 우리은행이 매물로 나온다. '매각'을 위한 민영화가 아닌 '금융산업 발전'을 위한 민영화가 돼야 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