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3/12/21/20131221154533554560.jpg)
김영삼 포스코경영연구소 수석 연구위원
아주경제 박재홍 기자 =김영삼 포스코경영연구소 수석 연구원은 미국의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에서 실시한 양적완화 축소(테이퍼링)의 향후 전망과 관련해 “2014년까지 완만한 속도로 지속될 것을 본다”고 말했다.
김 연구원은 지난 20일(22일) 아주경제와 인터뷰에서 이 같이 밝힌 뒤, “내년 말에 벤 버냉키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의 후임인 자넷 옐런 차기 의장이은 더 (양적완화 축소를)완만한 속도로 진행하지 않을까 생각된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 6월 버냉키 의장이 양적완화 축소 의사를 처음 밝혔을 당시 천천히 시작해서 내년 중반 정도에는 양적완화를 더 시행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고 이야기했다”며 “다만 옐런 차기 의장은 버냉키보다 고용의 상태와 질에 더 많은 고민을 하는 사람으로 보이는 만큼 보다 신중히 진행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김 연구원은 이번 조치로 인해 일부 국가에서 위험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당초 미국에서 돈을 푼다는 가정하에 금융거래를 진행하던 국가들이 양적완화가 축소될 경우 일부 국가에서 선별적 위험이 나타날 수 있다”며 “자본이 빠져나가는 것 역시 균등하지 않고 위험한 지역에서 돈을 먼저 빼서 안전한 지역으로 자금을 돌리는 형태로 영향이 나타날 것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김 연구원은 “우리나라 같은 경우 일시적으로 환율 상승 등이 일어날 수는 있지만 경상수지 흑자가 지속되고 있고 외화 유동성 부문에서도 안정성을 보이고 있다”며 “단기외채 비율도 낮고 선물환 비율도 미리 낮춰놓은 상태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안정적일 것으로 본다”고 예상했다.
그는 이어 “이번 양적완화 축소 조치가 실질적으로 출구전략이라고 보긴 어렵다”며 “금융기관들이 미리 알고 있었던 사실이고 그 시행 폭도 완만하기 때문에 직접적으로 금융기관으로부터 자금이 회수되는 것은 아닐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 연구원은 다만 금리인상에 대해서는 대비를 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금리상승 가능성에는 주의를 해야 한다. 미국 국채가 오르면 연관 채권이나 외국인 채권투자 등이 예전같지 않아 시장금리가 오를 수 있다”며 “우리나라처럼 주택대출 등으로 가계부채가 높은 점과 현재 부채 비율이 높은 한계기업들도 준비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연구원은 이어 시장 변동성이 높아질 것에 대한 정책적 준비의 필요성도 언급했다.
그는 “환율이 급변하면 투자금이 활발하게 움직일 수 있는데, 그런 상황에서 금융당국이 강력한 경고를 하는 등의 방안이 있을 수 있다”며 “또 기업 유동성 부문에서도 금융당국에서 모니터링을 강화해 사전에 위험을 막을 수 있는 대비책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