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유통업계 체감 경기지수 3분기 연속 호전"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3-12-29 11: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박재홍 기자 =소매유통업계의 내년 1분기 체감지수가 회복세를 나타내며 3분기 연속 호조세를 이어갔다. 그러나 편의점과 슈퍼마켓 등 지역 소매 유통업은 어려움을 보일 것으로 예상됐다.

29일 대한상공회의소(회장 박용만)가 최근 서울 및 6대 광역시 943개 소매유통업체를 대상으로 ‘2014년 1분기 소매유통업 경기전망지수’를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2014년 1분기 전망치가 전분기보다 3포인트 상승한 104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3분기 105, 4분기 101에 이어 3분기 연속 기준치인 100을 상회하는 호조세를 이어가는 기록이다.

대한상의는 "최근 투자·소비심리지수 등 각종 경제지표들이 경기 회복의 신호를 보내는 데에 대한 기대감과 더불어, 분기 내 설 명절 특수가 겹치며 1분기 유통기업 매출이 다소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소매유통업 경기전망지수(RBSI ; Retail Business Survey Index)는 유통업체들이 체감하는 경기를 수치화한 것으로 지수가 100을 넘으면 다음 분기 경기가 이번 분기보다 호전될 것으로 예상하는 기업이 더 많다는 의미이고 100미만이면 반대다.

업태별로는 전통적 유통 강자였던 백화점(117)과 대형마트(108)가 이전 분기 대비 각각 9포인트, 16포인트씩 증가하며 매출 증가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으며, 이어 홈쇼핑(106), 인터넷쇼핑몰(104)도 긍정적 전망을 나타냈다.

반면, 경쟁이 치열해진 편의점(86)과 지역 소매상권을 대표하는 슈퍼마켓(83)은 기준치를 한참 밑돌며 고전이 예상됐다.

가장 높은 지수를 보인 백화점(117)은 동절기 의류 매출 증가와 각종 팝업스토어 설치 등의 다양한 마케팅 전략이 효과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는 데다, 설 선물세트 판매에 대한 기대감까지 겹쳐 새해 특수를 가장 크게 누릴 것으로 보인다.

뒤이어 대형마트(108)는 작년 영업규제에 대한 기저효과와 함께 알뜰 소비심리 확산에 따른 설 선물 대형마트 구매 확산과 명절 기간 식료품 구매 증가에 대한 기대로 2년 만에 기준치를 넘었다.

홈쇼핑(106)은 동절기 시청률 증가라는 계절적 특수와 디자이너 및 백화점 브랜드 런칭 등 패션 상품군을 지속적으로 강화한 영향으로 당분간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이며, 인터넷쇼핑몰(104) 역시 알뜰 소비심리 지속에 따라 호황을 누릴 것으로 예상됐다.

그러나 반면 편의점(86)은 동절기 유동인구 감소를 비롯해 상권포화, 정부의 출점제한 권고, 드럭스토어와 같은 경쟁업태 확산 등으로 어려움을 보였다.

특히 슈퍼마켓(83)은 지난 분기 다소 개선되는 모습을 보였으나 다시 23포인트나 하락하며 지역 소매상권의 어려움을 다시 한 번 확인시켰다.

한편, 내년 1분기 예상되는 경영애로 요인으로 유통업체들은 ‘소비심리 위축에 따른 매출부진’(33.7%)을 첫 손에 꼽았고 이어 ‘수익성 하락’(15.5%), ‘업태간 경쟁 심화’(14.9%), ‘업태내 경쟁심화’(9.7%), ‘유통관련 규제강화’(8.9%), ‘인력부족’(5.1%), ‘자금사정 악화’(4.9%) 등을 차례로 꼽았다.

김경종 대한상의 유통물류진흥원장은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소비에 반영돼 새해 소매유통시장은 다소 활력을 찾을 것으로 기대된다”면서도 “인구 구조 변동에 따른 소비패턴 변화나 업태 융복합에 따른 경쟁 격화 등 국내 유통기업이 풀어야 할 과제가 여전히 많은 만큼 기업 스스로 적극적 대응 전략을 모색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