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3/12/30/20131230103312278604.jpg)
특히 전통 텃밭이던 중동을 제치고 아시아 수주가 최고를 기록하는 등 수주구조가 다변화되는 추세를 보였다.
30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해 해외건설 수주액은 전년 대비 3억 달러 증가한 652억 달러로 집계됐다. 이는 2010년 716억 달러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수준이다.
정부는 수주목표였던 700억 달러 미달에 대해 태국 물 사업(53억 달러) 등 주요 프로젝트 최종 계약체결과 중동 대형 플랜트 발주가 지연됐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수주물량 늘리기에 나섰던 건설사들이 수익성 위주로 전략을 전환한 것도 영향을 미쳤다.
올해에는 449개사가 104개국에서 679건의 공사를 수주해 409개사가 95개국에서 617건을 따낸 지난해보다 모두 증가했다.
지역별로는 아시아에서 가장 많은 275억7000만 달러(42.3%)를 수주했다. 아시아는 업계의 수주다변화 노력 및 투르크메니스탄 석유화학단지(21억 달러) 등 대형 플랜트 공사 수주가 이어져 전년(194억 달러) 대비 42% 증가했다. 중동은 261억4000만 달러(40.1%)로 둘째로 밀려났다. 태평양·북미에서는 63억6000만 달러(9.7%)를 수주했다. 이어 중남미 33억3000만 달러(5.1%), 아프리카 10억8000만 달러(1.7%),유럽 7억3000만 달러(1.1%) 등 순이었다.
공종별로는 플랜트가 396억5000만 달러로 전체 60.7%를 차지했다. 호주 로이힐 사업(58억5000만 달러) 및 리야드 메트로(22억2000만 달러) 등 대규모 토목 공사 수주에 힘입어 토목 공종(181억3000만 달러·27.8%)은 전년(88억 달러) 대비 108% 증가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3/12/30/20131230103335951028.jpg)
이어 건축이 8.4%(54억5000만 달러), 용역1.5%(9억8000만 달러), 전기 1.2%(7억6000만 달러), 통신 0.4%(2억4000만 달러)를 각각 차지했다.
업체별로는 삼성물산이 19건을 수주해 134억8000만 달러로 최고 수주액을 기록했다. 이어 현대건설(109억 달러)·GS건설(52억9000만 달러)·대우건설·현대중공업(각 50억 달러)·SK건설(47억8000만 달러)·현대엔지니어링(44억1000만 달러)·대림산업(39억5000만 달러)·삼성엔지니어링(17억6000만 달러)·포스코건설(17억6000만 달러) 등 순이었다.
국가별로는 사우디아라비아에서만 23건을 수주해 99억8000만 달러의 수주고를 올렸다. 이어 호주(58억600만 달러)·우즈베키스탄(45억3000만 달러) 등 순으로 수주액이 많ᄋᆞᆻ다. 넷째로 수주액이 많은 베트남(40억4000만 달러)은 수주건수가 76개로 가장 많았다.
국토부는 내년 해외건설시장이 안정 성장하고 국내 기업이 수주확대 기조를 유지해 700억 달러 이상을 수주할 것으로 예상했다.
중동지역의 경우 쿠웨이트 신규 정유공장(140억 달러) 및 클린퓨얼 프로젝트(120억 달러) 등 대형 석유화학 플랜트 발주가 본격화될 전망이다. 아시아는 싱가포르·베트남·태국·말레이시아 등의 인프라 확대와 카자흐스탄과 우즈베키스탄 등 중앙아시아 석유화학 및 정유공장 설비투자 확대가 예상된다.
해외건설협회에 따르면 상위 10개 기업 대부분이 해외사업 비중을 늘리고 계약예정 공사 규모 등을 감안했을 때 내년 720억 달러 수주가 가능할 것으로 추정됐다.
국토부는 주요 프로젝트에 대해 정부 지원을 강화하고 사업 리스크 관리 및 중소기업 진출 확대, 투자개발사업 진출 활성화 등 다양한 지원 방안을 추진키로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