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기관마다 안정적 정착을 위한 준비가 한창이나, 캠코(한국자산관리공사)의 경우 업무 축소 논란 등 잡음이 일고 있어 이전 과정이 순탄치는 않을 전망이다.
1일 금융권에 따르면 올해 하반기 중으로 캠코와 한국주택금융공사 및 한국예탁결제원이 부산으로, 신용보증기금이 대구로 본사를 옮길 예정이다.
부산으로 가는 3개 기관은 모두 부산 남구 문현동의 부산국제금융센터(BIFC)로 이전한다. 캠코를 중심으로 13개 이전기관이 모여 부산시장과 부산은행장을 포함한 부산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장협의회와 공동사회봉사단도 발족한 상태다.
총 620명의 인원이 옮겨가는 캠코의 이전 예정 시기는 9월말로 150명의 직원을 수용할 기숙사도 짓고 있다. 앞서 캠코는 안정적인 지역 정착을 위해 부산시, 부산대, 부산상공회의소, 부산은행 등과 업무협약을 잇따라 체결한 바 있다.
283명의 직원들이 이동하게 되는 주금공 역시 문현 혁신지구 내 신사옥을 짓고 있으며, 예탁원 역시 올해 최우선 과제로 본사 이전을 꼽고 있다.
신보는 대구 동구혁신도시에 신사옥을 착공했다. 9월말까지 공사를 마치고 이후 점진적 이전을 통해 연말까지 인력 300여 명이 옮겨갈 예정이다. 이전 인원을 수용할 기숙사도 공사중이다.
하지만 이전이 본격화되면서 잡음도 잇따르고 있다. 서민금융 업무 축소로 '껍데기 이전' 논란을 낳고 있는 캠코가 대표적이다.
금융위는 올해 중 설립할 서민금융총괄기구로 캠코가 보유한 국민행복기금 지분 68.3%을 모두 넘기고, 이를 자회사로 만든 뒤, 기금 업무는 이전처럼 캠코가 위탁 운영하는 방안을 내놨다. 하지만 신용회복위원회에서 기금 업무 전체를 이관해야 종합적인 지원이 가능하다는 입장을 내세우며 캠코와 입장차를 보이고 있다.
캠코가 서민금융 업무를 이관하면 부산 이전 규모는 크게 줄어들 전망이다. 이에 부산지역 정치권에서도 이를 반대하고 있다. 금융위 관계자는 "총괄기구로 의결권을 이전한다는 결정만 했을 뿐 나머지는 유관기관이 모인 태스크포스(TF)에서 계속 논의중"이라고 말했다.
예탁원의 경우 이전비용만 수천억원에 달하는 일산센터를 매각해야 하는 점이 최대 장애물로 지적된다.
이밖에도 이전 공기업 관계자들은 지방이전비를 포함해 공공기관의 예산이 신청분보다 삭감된 점, 업무 협의 시 추가로 발생할 수 있는 시간과 비용 등을 극복해야 할 과제로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