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G전자가 7일(현지시간)부터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가전전시회 'CES 2014'에서 105인치 곡면 UHD TV를 선보인다.
지난해 55인치 곡면(커브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TV를 선보이며 세계를 깜짝 놀라게 한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올해 105인치 곡면 초고화질(UHD) TV를 필두로 다양한 UHD TV 라인업을 선보이며 경쟁사와의 기술 격차를 벌린다는 계획이다.
라스베이거스 컨벤션센터 내에 최대 규모인 2600㎡(약 790평)의 전시관을 마련한 삼성전자는 리모컨 버튼으로 화면의 굽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85인치 벤더블 초고화질(UHD) TV를 최초로 공개하며 기술적 우위를 다시 한번 과시한다.
이와 함께 세계 최고 화질과 기술력을 결집한 105형 커브드 UHD TV를 통해 '곡률=기술=화질'이라는 수식어를 입증시킨다는 계획이다.
이 제품은 21대 9의 화면비율과 1100만 화소(5120×2160)에 업계 최대 곡률 4200R을 구현해 아이맥스 영화관과 같은 웅장한 시청경험을 제공한다.
삼성전자는 CES 전시관 입구부터 곡선을 가미한 조형물에 커브드 UHD TV 전 제품군을 전시해 신시장에 대한 개척의지를 피력할 방침이다.
'매 순간 가능성이 열립니다(With LG, It’s All Possible)'라는 슬로건으로 삼성에 맞서는 LG전자도 올해 2043m² 규모의 전시관을 마련하고 105인치 곡면 UHD TV를 화질 경쟁을 위한 첨병으로 내세웠다.
'웹OS' 운영체제를 탑재한 스마트 TV도 선보인다. '웹OS'는 다양한 기기에 공통적으로 사용 가능한 소프트웨어 플랫폼으로 애플리케이션 개발이 쉬운 것이 특징이다.
LG전자는 TV의 본질인 간편한 사용성을 강조해 'LG 스마트 TV=가장 사용하기 편한 TV' 라는 이미지를 확고히 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세계 최대인 77인치 OLED를 포함한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OLED TV 라인업도 대거 공개한다.

삼성전자가 7일(현지시간)부터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가전전시회 'CES 2014'에서 갤럭시 기어를 이용해 가전제품을 원격 제어할 수 있는 '삼성 스마트홈 서비스'를 선보인다.
사용자와 기기, 기기 간 소통을 강조한 스마트홈 기술 경쟁도 치열하다.
삼성전자는 '스마트한 삶, 그 이상의 가치(Smart Living & Beyond)'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대상 기기들을 연결해 하나의 통합 앱으로 손쉽게 제어할 수 있는 '삼성 스마트홈 서비스'를 선보인다.
'삼성 스마트홈 서비스'는 스마트TV·스마트폰·웨어러블 기기는 물론 생활가전·카메라·조명 등을 통합 플랫폼으로 연결하고 통합된 하나의 앱을 적용해 사용 편의성을 대폭 높인 게 특징이다.
삼성전자는 CES 전시관에서 '스마트한 하루'를 시연하며 '스마트홈' 서비스의 강점을 소개할 계획이다.
시연자가 전시 부스 외부에서 손목에 찬 '갤럭시 기어'에 'Going Out(외출)'이라고 말하면 부스의 조명과 에어컨이 꺼지고 로봇청소기가 청소를 시작하는 등 흥미로운 모습을 보여 준다.
LG전자는 모바일 메신저 '라인'을 통해 가전제품을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홈을 공개한다.
관람객들은 현장에서 직접 모바일 메신저 '라인'을 통해 로봇청소기·냉장고 등 스마트 가전과 일상언어(문자)로 대화를 주고 받을 수 있는 '홈챗' 서비스로 새로운 경험을 할 수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