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도시교통본부는 6일 정오 신촌 연세로 ‘대중교통전용지구’를 개통했다.
연세로 대중교통전용지구는 기존 4차로를 2차로로 줄여 보도 폭이 훨씬 넓어졌고, 차로에 대중교통과 긴급차량의 통행만 허용된다.
시는 신촌 연세로의 교통 환경 개선을 통해 1990년대 활발했던 신촌의 문화와 상권이 다시 부흥하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연세로 내 보행자 구역에 자유로운 공연을 위한 별도 공간을 마련하고 5∼10월 중 토요일마다 ‘열린 예술극장’을 운영하는 등 이 지역 고유의 문화가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또 보행자 안전과 편의가 보장되는 ‘보행자 최우선의 상징적인 공간’으로 거듭나기 위해 최대한 보도를 비우며 연세로와 명물거리 전 구간에 벚나무 150여 주를 심고 띠녹지와 가로화분을 설치한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신촌 연세로 대중교통전용지구는 ‘보행친화도시’의 본격적인 시작을 알리는 시발점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 지역 고유의 문화적 콘텐츠가 생산·유통되고, 침체됐던 지역이 활력을 되찾는 도시재생의 모델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세로 대중교통전용지구는 기존 4차로를 2차로로 줄여 보도 폭이 훨씬 넓어졌고, 차로에 대중교통과 긴급차량의 통행만 허용된다.
시는 신촌 연세로의 교통 환경 개선을 통해 1990년대 활발했던 신촌의 문화와 상권이 다시 부흥하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연세로 내 보행자 구역에 자유로운 공연을 위한 별도 공간을 마련하고 5∼10월 중 토요일마다 ‘열린 예술극장’을 운영하는 등 이 지역 고유의 문화가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또 보행자 안전과 편의가 보장되는 ‘보행자 최우선의 상징적인 공간’으로 거듭나기 위해 최대한 보도를 비우며 연세로와 명물거리 전 구간에 벚나무 150여 주를 심고 띠녹지와 가로화분을 설치한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신촌 연세로 대중교통전용지구는 ‘보행친화도시’의 본격적인 시작을 알리는 시발점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 지역 고유의 문화적 콘텐츠가 생산·유통되고, 침체됐던 지역이 활력을 되찾는 도시재생의 모델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