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4/01/06/20140106155921452805.jpg)
지난해 11월 8일 열린 LS그룹 창립 10주년 기념식에 참석한 구자열 회장이 원전케이블 품질 문제에 대해 사과하는 내용의 기념사를 읽고 있다.
아주경제 이재호 기자 = 구자열 LS그룹 회장이 원전 비리 의혹에 휘말린 계열사 JS전선을 버리는 초강수를 뒀다. 나락으로 떨어진 기업 이미지를 회복하기 위한 고육책으로 풀이된다.
LS그룹은 6일 △JS전선 사업정리 △원전 안전 및 연구개발 지원금 출연 △준법경영 선포 및 실천 프로그램 강화 등을 골자로 하는 원전케이블 품질 문제 관련 대책을 발표했다.
LS그룹은 이번 원전 비리 의혹을 야기한 JS전선이 사업을 계속 영위하는 것은 도의적으로 문제가 있다고 판단하고 사업을 정리하기로 했다.
JS전선 정리 과정에서 소액주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대주주가 사재를 출연해 주식 전량을 주당 6200원에 공개 매수할 방침이다. 이는 이날 종가인 5300원보다 17% 비싼 가격이다.
LS그룹은 JS전선을 상장 폐지하고 이른 시일 내에 모든 사업을 정리할 예정이다. JS전선 종업원 300여명은 그룹 차원에서 고용을 승계하고 수주 물량의 납품과 물품 대금 지급 등도 차질 없이 이행키로 했다. 또 사업을 정리하더라도 JS전선 법인은 존속시켜 현재 진행 중인 민·형사상 소송에 성실히 임하기로 했다.
구자열 회장을 비롯한 LS그룹 오너 일가가 JS전선 사업정리라는 카드를 빼든 것은 비난 여론의 수위가 도를 넘어 그룹 전체에 타격을 주고 있다는 판단 때문이다.
LS그룹 관계자는 "원전케이블 품질이 국민의 안위와 직결된다는 사실을 소홀히 한 결과 심각한 품질 불량 문제가 야기돼 원전에 대한 국민적 불안과 불신을 초래했다"며 "이에 대한 책임을 통감하고 사죄하기 위해 이번 대책을 발표하게 됐다"고 말했다.
이어 "개인이나 한 부서의 위법행위가 기업의 존폐를 결정지을 수도 있다는 보편적 교훈을 사업정리라는 큰 대가를 치른 후에야 뼈저리게 얻게 됐다"며 "이를 반면교사(反面敎師)로 삼아 다시는 이같은 우를 범하지 않겠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LS그룹은 원전 안전 및 관련 연구개발을 위해 1000억원 규모의 지원금을 출연키로 했다. 지원금 운영의 투명성과 효율성을 확보하기 위해 관계 기관과 외부 전문가들의 의견을 적극 수렴할 계획이다.
지원금은 원전 안전 관련 연구개발 활동 지원, 원전 평가·검증기관의 전문성 확보, 관련 인력 양성 및 설비 지원 등에 사용된다.
아울러 그룹 내에 품질안전위원회를 구성하고 외부 전문가를 영입해 향후 제품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높이는 데 주력키로 했다.
또 전 계열사가 준법경영을 선포하고 준법경영 지수를 개발해 인사 평가에 반영하는 한편 실천 프로그램도 더욱 강화하기로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