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이날 오후 3시 판문점 남북 연락 채널을 통해 유중근 대한적십자사 명의 통지문을 강수린 북한 조선적십자회 중앙위원회 위원장 앞으로 보냈다고 통일부가 전했다.
이에 따라 지난해 북한의 일방적 연기로 막판에 무산된 이산가족 상봉 행사가 다시 성사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이산가족 문제가 대표적인 인도주의 사안인데다 북한도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의 신년사를 통해 남북관계 개선 필요성을 언급한 터여서 북한이 이산상봉 행사 개최에 동의할 가능성이 큰 게 아니냐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다.
남북은 애초 지난해 추석 직후인 9월 25일부터 30일까지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금강산에서 열기로 합의했다. 이와 별도로 11월 추가 상봉 행사와 10월 화상 상봉도 계획되어 있었다.
그러나 북한은 이산가족 상봉 나흘 전에 갑작스럽게 '무기한 연기' 방침을 밝히면서 행사를 무산시켰다.
당시 북한은 남측이 '대결 소동'을 벌이고 있다면서 상봉 무산의 책임을 우리 쪽에 떠넘겼다. 그러나 실제로는 이산가족 문제를 금강산 관광 재개 문제와 분리시키려는 우리 정부의 확고한 태도에 불만을 품은 것이라는 분석이다.
통일부의 이날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남북 접식자 접촉을 북측에 공식 제안한 것에 대해 북한이 어떻게 반응할지는 속단할 수 없다.
우선 북한이 올해 신년사에서 ‘남북관계 개선’ 분위기를 언급했다는 점에서 우리 측의 제안을 수용할 것이라는 전망이 적지않다.
하지만 북한 입장에서 획기적인 새로운 대북제안이 없다는 점에서 이산가족 상봉 제안을 즉각 수용하지는 않고 향후 우리 측의 대북정책 변화를 압박하는 카드로 활용할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장용석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선임연구원은 “북한이 이산가족 상봉 행사 제안을 받을 가능성이 반반 정도”라며 “남북관계 개선 분위기 조성 차원에서 호응할 여지가 있지만 금강산 관광과 연계시키면서 다시 역제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통일부는 지난해 9월 이산가족 행사가 개최 직전까지 간 상황이어서 기존에 확정된 100가족의 명단을 그대로 활용하면 실무 준비에 1∼2주 정도의 시간이면 충분할 것으로 보고 있다.
통일부 당국자는 “설까지는 어렵더라도 북한이 동의해오면 내달 정도에는 상봉 행사가 열리는 것이 불가능하지 않아 보인다”며 “명단도 작년 9월 이후 돌아가신 분들이 있는지 확인하고 빈자리가 있으면 새로운 분들을 넣으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산가족 상봉 행사는 이명박 정부 들어 남북관계가 경색되면서 2010년 10월을 마지막으로 4년째 중단된 상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